올들어 경기침체로 명예퇴직 연령이 낮아지면서 50대 근로자들의 퇴직이 급증, 40대 후반의 가계소득이 50대 초반을 큰 차이로 앞지르고 있다.
이는 명퇴연령이 5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으로 앞당겨지면서 우리 사회의 주도층이 50대 초반에서 40대 후반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5일 통계청의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도시의 생산직, 사무직 근로자의 지난 3.4분기 가구주 연령별 소득은 45~49세가 35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44세 341만8천원 ▲50~54세 339만9천원 ▲35~39세 319만2천원 ▲55세 이상 308만5천원▲30~34세 297만2천원 ▲ 25~29세 263만9천원 ▲25세 이하 201만5천원 등이었다.
가구주 연령이 45~49세인 가구의 소득은 작년 4.4분기까지만 해도 318만7천원으로 50~54세의 332만2천원에 못미쳤으나 올해 1.4분기 346만3천원을 기록, 50~54세의328만9천원을 넘어선 후 3분기 연속 최고를 기록했다.
45~49세의 분기별 가구소득이 50~54세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02년 1.4분기 이후2년만이며 3분기 연속 최고를 기록한 것은 지난 1992년 3.4분기~1993년 1.4분기 이후 11년6개월만이다.
최근 코오롱과 현대중공업, KT 등 대기업들마저 대대적인 감원을 추진하는 등올해 4.4분기에도 경기부진으로 50대 이후의 고용상황이 불안한 점을 감안하면 45~49세 가구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4분기 연속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도별 가구소득은 통계조사가 연령별, 분기별로 세분화된 1982년 이후 1992년과 2000년, 2001년 등 3번만 45~49세가 50~54세를 제치고 최고를 기록했으며, 이들연도에는 경기부진으로 50대의 취업자수가 40대의 절반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문제는 올해의 경우 45~49세와 50~54세 가구의 소득차이가 3.4분기까지 평균 22만2천원(50~54세 소득대비 6.9%)을 기록, 1992년 1만3천원(0.8%), 2000년 9만2천원(3.4%), 2001년 1만4천원(0.5%) 등에 비해 그 격차가 커져 45~49세와 50~54세간의 `임금 역전' 현상이 고착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가구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50대 이후 연령층이 첫번째 직장에서 명예퇴직한 후 월급이 적은 다른 직장으로 옮기기 때문"이라고분석하고 "명예퇴직 증가로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퇴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신현구 박사는 "근로자의 나이가 생산성이 가장 높은 40대에서 50대로 넘어가면 임금을 낮추고 대신 퇴직연령을 늦추는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고중.고령자들을 위한 일자리를 많이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