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논문조작' 걸러낼 제도적 장치 마련 시급

외국에선 조작방조 동료 학자까지 처벌<br>연구기관 임용시 연구정직성 교육 필수

황우석 교수의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이 허위로 밝혀진 가운데 이 같은 연구 조작을 막을 수 있는 근본 제도를 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황 교수팀은 올해 3월 국제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2개의 줄기세포를 11개인양 데이터를 꾸며 논문을 냈다. 그러나 황 교수 소속기관인 서울대나 관련 학회 등은 지난달까지 이런 조작을 근거없는 의혹으로 보고 소극적인 입장만 취해왔다. 대전 소재 국립대의 한 이공계 교수는 25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제대로된 검증 절차와 틀이 없으니 의혹에 대처하려 해도 `남의 일'에 섣불리 참견한다는식의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각 대학 등에 각종 과학적과오를 적발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정부출연연구소의 관계자도 "한국 과학의 역사가 짧다보니 `설마 학자의 본분으로 그러겠느냐'며 연구자 개인의 양심을 많이 믿어 준 것은 사실"이라며 "지금도 연구과정을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빼고는 조작을 걸러내는 상시 제도는 국내에서없다고 보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외국의 사례는 어떨까. 미국은 모든 연구기관이 과학자의 연구 조작을 조사할수 있는 전문위원회 등의 공식 절차를 갖춰 놓도록 법으로 규정해놨다. 이 시스템은 연구 관련 의혹이 접수되면 곧바로 가동된다. 조사단이 꾸려지고조작 혐의가 인정되면 일말의 선처없이 징계가 떨어진다. 해당 문제를 보고도 방조한 학내 동료들에게도 책임을 물을 정도로 처벌이 엄정하다. 동시에 중시되는 것이 교육. 연구기관에 임용되는 과학자들은 맨 먼저 연구 정직성 규정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받는다. 연구 조작에 대한 정의부터 이런 행동에따르는 처벌까지의 원칙이 머리에 박힐 수밖에 없다.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의 설대우 교수는 "미국도 수많은 과학적 사기 사건을 겪으면서 이런 제도가 생기게 된 것"이라며 "과학계의 자정기능도 결국 연구자들이 연구 조작을 엄벌하는 제도가 있다는 것을 알고 항상 조심할 때 가능한 개념"이라고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