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터넷 이용인구 3천만명 돌파

10·20대 95% 넘어, 남 74%ㆍ여 62%‥전문·관리직·학생 높아<br>1주 평균 11.5시간‥울산·광주·경기順, 연령·계층별 정보격차 해소 주력

인터넷 이용인구 3천만명 돌파 10·20대 95% 넘어, 남 74%ㆍ여 62%‥전문·관리직·학생 높아1주 평균 11.5시간‥울산·광주·경기順, 연령·계층별 정보격차 해소 주력 • 인터넷인구 3천만 돌파 의미와 과제 우리나라가 인터넷 이용인구 3천만명 시대를 맞게 됐다.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인구는 지난 94년 상용서비스 개시 이후 97년 100만명, 99년 1천만명을 돌파한 이후 2001년 2천만명을 넘어섰고 올 상반기 3천만명을 넘게 됐다고 정보통신부가 10일 밝혔다. 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2004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결과에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인구는 만 6세 이상 월 1회 이상 인터넷 이용자를 기준으로 3천67만명(만6세이상, 월1회이상 인터넷이용자)이며 인터넷 이용률은 68.2%인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률은 10대 이하가 95.5%, 20대가 95%로 모두 95% 수준을넘었고 30대의 경우 86.4%, 40대는 58.3%, 50대는 27.6%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인터넷이용률은 74.4%인 반면 여성은 62%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직업별 인터넷 이용률은 전문.관리직(94.4%)과 학생(96.6%)이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판매직(63.2%)은 전년 대비 인터넷 이용률 증가폭이 10.5%로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 행태별 특징은 20대의 경우 인터넷 커뮤니티에 가입(45.2%)하고 인스턴트메신저를 주도적으로 이용(37.1%)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인터넷 쇼핑 이용경험(45.3%)과 유료 콘텐츠 이용(18.9%)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인터넷 이용 시간은 일주일에 평균 11.5시간을 이용하고 있고 인터넷이용자 중74.5%가 3년이상 인터넷을 이용한 것으로 답했으며 인터넷을 처음 이용하는 이용자는 줄어드는 반면 장기이용자 증가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역별 인터넷 이용률은 울산이 78.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광주(75.6%), 경기(73.4%) 등의 순인 반면 충남(54.8%), 전남(54.9%), 경북(57.5%) 등의 인터넷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인터넷 접속방법은 조사가구의 84%가 xDSL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했고 그다음으로 케이블망 11.6%, 전화모뎀 2.4%, ISDN(종합디지털종합통신망) 1.1% 순이었다. 지난 6월 한달간 전국 7천30가구를 대상으로 방문조사 형태로 이뤄진 이번 조사결과의 신뢰수준은 95%이며 표본오차는 ±0.65% 포인트이다. 정통부는 이처럼 인터넷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을법정기구인 한국인터넷진흥원(NIDA)으로 승격하는 것 등을 주요 골자로 한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을 적극 시행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500만 소외계층 정보화 교육계획을 추진해 연령별, 계층별 정보격차를 해소해 나감으로써 다함께 참여하는 디지털 세상을 구현해 나갈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입력시간 : 2004-08-10 11:2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