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국가경쟁력은 세계 24위

■ IPS-국가경쟁력硏 발표 '2002 한국의 국가경쟁력' 우리의 국가경쟁력이 세계 24위로 나타난 가운데시장의 크기와 질, 통신, 과학기술, 기업가의 경쟁력은 22위권내에 드는 반면 정치지도자, 경영여건, 교육, 삶의 환경 등은 상대적인 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산업정책연구원(IPS)과 국가경쟁력연구원이 발표한 '2002 한국의 국가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조사대상 68개국 가운데 24위였다. 이는 국제경영개발원(IMD)이 27위로, 세계경제포럼(WEF)이 28위로 평가한 것에비해서는 높은 점수를 준 것이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1위를 차지한데 이어 홍콩, 핀란드, 스웨덴, 벨기에, 싱가포르, 영국, 독일, 노르웨이, 캐나다 등의 순으로 10위권이 결정됐으며 일본은 18위,대만 19위, 스페인 23위, 중국은 37위로 각각 분석됐다. 요소별 우리 경쟁력은 시장의 크기(11위), 시장의 질(12위), 과학기술(14위),통신(18위), 기업가.전문가(22위)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에 속했다. 반면 교통(24위), 정치가 및 행정관료(25위), 금융 및 주식시장(26위), 전반적인 삶의 환경(28위), 경영여건(30위), 근로자(32위) 등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했고 특히 교육은 52위, 부존자원은 54위인 것으로 각각 평가됐다. 그러나 우리의 국가경쟁력은 어떤 국가전략을 채택하느냐에 따라 최고 22위에서최하 30위로 변동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가 전문성에 기반한 전략 중심의 선진국형 전략을 채택할 경우 미국(1위). 홍콩(2위), 핀란드(3위), 싱가포르(4위), 독일(5위), 일본(15위) 등에 이어 22위가 되고 투자중심의 준선진국형 전략을 펼 경우 23위에 해당했다. 또 효율중심의 개도국형 전략을 택할 경우 25위, 자원중심의 후진국형 저임금전략일 경우 30위까지 떨어진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미국의 경우 어떤 전략을 택해도 1위를 고수했고 싱가포르는 준선진국형 전략을택할 경우 3위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 반면 중국의 경우 선진국형에서 후진국형 전략으로 내려갈수록 47위에서 43위, 38위, 3위 등으로 순위가 상승했다. 공동연구자인 서울대 문휘창 교수는 "전략선택에 따라 국가마다 순위가 다르게나타났다"면서 "국가마다 경제발전단계에 맞는 경쟁전략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