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버린, SK와 경영권 분쟁서 백기] 지분 처분 수술밟기 가능성

주총패배·외국계 자본 세무조사 등 입지약화<br>"명분 잃은 싸움 더 이상 집착 않겠다" 속내

지분 처분 수술밟기 가능성 [소버린, SK와 경영권 분쟁서 백기] 주총패배·외국계 자본 세무조사 등 입지약화"명분 잃은 싸움 더 이상 집착 않겠다" 속내 김현수 기자 hskim@sed.co.kr 관련기사 • 소버린 "SK㈜ 단순투자" 소버린자산운용이 SK㈜에 대한 투자목적을 변경하고 경영권 분쟁을 사실상 종료한 것은 명분을 잃은 싸움에 더 이상 집착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2년에 걸친 주총에서 최태원 회장의 퇴진을 목적으로 표대결을 벌였지만 완패를 한데다 국내에서 외국계 투기자본에 대한 세무조사 등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입지가 약화됐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주총패배, 임시주총 기각에다 사법부의 기업경영 활동에 대한 정상참작으로 최 회장의 형 집행을 유예하며 소버린의 입지를 좁히며 백기를 들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는 SK㈜에 대한 투자목적을 ‘단순투자’로 변경한 것이 지분 처분을 위한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버린은 2003년초 SK㈜ 지분 14.99%를 기습적으로 매입한 뒤 지금까지 약 1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수익(미실현 차익 포함)을 거두고 있다. 조재훈 대우증권 투자정보팀장은 “최근 영국계 펀드가 삼성물산에 대해 경영참여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지분을 팔면서 금융감독원의 조사를 받은 적이 있다”며 “소버린 입장에서도 지분 매각에 앞서 걸림돌을 제거하려는 수순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SK㈜측은 “소버린의 공시의 의도를 파악하고 있다”며 “하지만 공시와 상관 없이 SK㈜는 앞으로도 이사회 중심으로 전체 주주이익과 투명성 확보, 윤리적 경영을 위해 계속 매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SK글로벌 사태와 함께 SK㈜ 경영권 획득에 열을 올렸던 소버린이 힘을 잃기 시작한 것은 2003년 주총. 당시 소버린은 헤르메스ㆍ웰링턴 등 외국계 자본과 국내 일부 소액투자자의 지지를 등에 업고 독자적인 이사 후보를 추천, SK㈜의 경영권 획득을 시도했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국내 기관투자가들과 대다수 개인투자자들이 SK㈜의 손을 들어주며 소버린의패배로 1차전은 마무리를 지었다. 당시 소버린의 추천을 받았던 한 이사후보는 “실제 경영을 할 수 있는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가운데 투명경영이란 당위성만으로 밀어붙인 결과”라며 “돌이켜보면 당시로서는 소버린이 투기성 자본인지 투자 자본인지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소버린의 패배후 탄력을 받기 시작한 SK㈜의 지배구조 개선 노력은 소버린의 입지를 더욱 약화시켰다. SK㈜는 이사회 중심의 경영체제를 확고이 하는 한편 각종 투명경영 노력을 발표하며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아시아 지배구조개선 사례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여기다 지난 6월 13일 사법부가 최 회장의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하며 소버린의 입지를 더욱 약화시켰다. 사법부의 판단에 소버린은 기존에 제기했던 강도 높은 비판에서 한발 물러나며 경영군 분쟁 패배를 사실상 시인한 것이다. 입력시간 : 2005/06/20 22:5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