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신약개발 패러다임이 바뀐다] 동아제약주식회사

4개 생물의약품 기술 보유 지난 1일 창립 70주년을 맞은 동아제약(대표 유충식)은 세계적인 생물공학 5대 치료제로 꼽히는 제품 중 인간성장호르몬, 인터페론 알파, 백혈구증식인자(G-CSF), 적혈구생성촉진인자(EPO) 등 4개의 생물의약품을 자체기술로 개발ㆍ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동아제약은 조직공학과 유전자치료 등 생명공학의 신기술에 의한 제품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바이오벤처 바이로메드와 공동으로 개발중인 허혈성 유전자치료제 'VMDA-3601'는 지난해 6월 삼성병원에서 허혈성 족부궤양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는 임상 1상시험을 시작했다. 희귀의약품(Orphan drug)으로 인정돼 임상 2상시험 후에는 판매가 가능하다. 바이오벤처 제넥신, 녹십자와 함께 개발중인 에이즈 DNA백신 'GX-12'는 독일 바이오팜사의 주관 아래 지난해 3월부터 우크라이나에서 임상 1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기미ㆍ주근깨 치료제 '멜라논 크림', 먹는 세파계 복합제 'DA-7101', 국소진통제 'DA-5018', 발기부전치료제 'DA-8159' 등의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신약개발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동아제약은 지난해 7월 해외개발팀을 신설해 임상 1상시험 후 다국적기업에 라이선싱하거나 해외 임상시험 등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이달 초 창립 70주년에 맞춰 '동아제약 신약 1호'인 위염치료제 '스티렌'을 발매한 것을 시작으로 매년 1개 품목씩 신약을 배출할 계획이다. 스티렌은 위산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균에 의한 염증생성 차단은 물론 위점막 보호 및 조직재생을 촉진함으로써 급만성 위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국산 애엽(쑥)에서 분리정제한 유파틸린을 주성분으로 한 스티렌은 동아제약이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와 공동 개발했다. 국내 5개 대학병원에서 위염환자 5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 3상시험에서 55.6%의 완치율을 보였다. 연간 매출 100억원 이상 품목으로 육성할 계획이며, 해외 라이선싱도 추진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또 자체 개발한 발기부전 치료제 DA-8159에 대한 임상 1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끝내고 이르면 내년 초 환자를 대상으로 2상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다. 서울대병원서 실시한 1상시험에서 안면홍조 등 '비아그라'에서 나타나는 경미한 부작용만 발생해 별다른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결과보고서와 2상시험 계획서를 작성중이다. 조만간 식약청에 2상시험 허가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2상시험은 10여개 대학병원에서 다기관 임상시험으로 진행, 약의 안전성은 물론 효능ㆍ적정용량 등을 평가하게 된다. DA-8159는 비아그라의 성분인 구연산실데나필을 모체로 해서 화학구조를 바꾼 신물질(피라졸로피리디논 화합물)이다. ●외국제품 도입계획 -2010년까지 우수의약품 확보 총력 동아제약은 자체 또는 바이오벤처 등과의 제휴를 통해 신약 개발에 주력하는 한편, 세계적인 대형 신약 개발력을 갖추는 2010년까지 해외 제휴선 확대를 통한 우수 의약품 확보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다양한 신약과 자금력ㆍ마케팅력으로 무장한채 국내시장을 직접 공략하고 있는 다국적 제약사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다. 동아제약은 지난 2000년 다국적제약사인 글락소 스미스클라인(GSK)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항암치료시 동반되는 구역질ㆍ구토 억제제인 '조프란'과 항바이러스치료제 '발트렉스'를 도입해 대형 제품으로 육성하고 있다. 또 지난해 BMS제약과 우울증치료제 '설존', 2002년 야마노우치제약과 위궤양치료제 '가스터D', 일본타바코와 COXⅡ 저해제 'JTE-522', 후지사와약품과 아토피성 피부염치료제 '프로토픽', 도야마화학과 류머티스성 관절염치료제 '콜벳', 쉐링사와 폐경기증후군치료제 '누벨'을 도입하는 등 해외 우수 신약 유치활동을 적극 펼치고 있다. 특히 프로토픽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최초의 아토피성 피부염 전문 치료제로 인정받은 의약품. 항원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T-세포를 초기단계에서 차단해 강력한 면역억제작용을 발휘하는 타크로리무스(Tacrolimus)를 0.03% 함유하고 있다. 임상시험에서 80% 이상의 아토피 환자에게서 완치 또는 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얼굴ㆍ목 부분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일본ㆍ미국ㆍ캐나다ㆍ영국ㆍ독일 등 11개국에서 시판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