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PP자체제작, 불황에 성장세 둔화

작년 150건… 전년比 2건 증가 그쳐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이 2004년 이후 자체제작을 빠르게 늘렸지만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부터 급성장세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KBI) 권호영 책임연구원이 20개 PP를 대상으로 조사한 'PP의 경영전략-자체제작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의 자체제작 건수는 2004년 15건에서 2007년 148건으로 급증했지만 지난해에는 150건으로 정체상태를 보였다. 자체제작 프로그램의 평균 시청률은 0.386%로 외부에서 구매한 프로그램과 비슷했다. 온미디어, CJ미디어, MBC드라마넷, 중앙방송, 리얼TV는 자체제작에 열심이었지만 SBSㆍ폭스 계열 PP와 대부분의 단독PP는 자체제작을 거의 하지 않았다. 권 책임연구원은 "2004년 이후 PP의 자체제작이 크게 늘었지만 시청률ㆍ재정적 측면에서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않았다. PP 자체제작물이 성공할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그는 PP 자체제작 프로그램이 지상파TV와 대등한 제작비를 들였어도 높은 시청률을 기대할 수 없는 이유로 채널의 인지도가 낮고 채널번호가 지역별로 일정하지 않은데다 들쭉날쭉한 편성시간으로 인해 시청자들이 PP 프로그램을 습관적으로 시청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권 책임연구원은 PP 자체제작 활성화 방안으로 정책ㆍ재정지원과 업계의 자구노력 등 3가지를 제시했다. 정책지원 방안으로는 PP가 받는 수신료 수입 규모를 확대하고 광고총량제와 간접광고(PPL) 도입, 채널번호의 블록화를 제시했다. 재정지원 방안으로는 제작지원금 확대, 건당 지원액 상한 증액(1억→10억원), 성공 가능성ㆍ창의성 중심 지원, 공동제작지원센터 건립 등을 꼽았다. PP가 스스로 노력해야 할 부분으로는 지상파TV에서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소재ㆍ스토리ㆍ포맷을 개발하고 다른 매체나 외국사업자ㆍ금융자본과의 제휴를 통한 프로그램 제작비용 조달과 위험분산, 습관적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PP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 제고 노력 등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