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내 전자책시장 '애플 시대' 열리나

대형 출판유통사 앱스토어용 애플리케이션 선봬<br>다른 500여곳 업체들도 관련 서비스 준비 서둘러

국내 e북 콘텐츠 업체들이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로 급속히 방향전환을 하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아이폰의 국내 진출 이후 교육 출판사와 대형 유통사 등 e북 콘텐츠 업체들이 애플의 앱스토어에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잇따라 선보이거나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알리딘, 예스24, 인터파크 등 대형 온라인 출판 유통사들은 이미 앱스토어에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내놓은 상태며, 국내 최대 서점인 교보문고 역시 앱스토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준비하고 조만간 서비스에 들어갈 채비를 하고 있다. 교육 출판물 업체들은 유통업체들보다 더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 거의 모든 업체들이 앱스토어에 뛰어든 상태다. 게다가 애플의 태블릿PC인 아이패드가 조만간 국내에 상륙할 것을 대비해 이미 500여곳 이상의 출판 및 유통업체들이 관련 서비스를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자출판협회의 한 관계자는 "e북 콘텐츠 시장의 흐름이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으로 쏠리며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라며 "이미 대형 유통사와 출판사 뿐 아니라 e북 전문 유통사들도 애플 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e북 시장에서 애플의 주도권이 강화된 데 반해 전용 단말기와 관련 콘텐츠는 예상을 크게 밑도는 부진한 실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실제 지난 2월 e북 전용단말기를 출시한 북큐브 네트워크는 지난 13일까지 4개월 동안 불과 약 1,000대 밖에 팔지 못했고, 지난달 국내에서 처음으로 3세대(3G) 이동통신 모듈을 탑재한 단말기를 선보였던 인터파크INT도 한 달 동안 불과 1,000대가 조금 넘는 판매 실적을 올리는 데 만족했다. 삼성전자와 아이리버은 e북 전용단말기 판매량을 공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양사를 포함한다고 해도 올해 국내에서 판매된 총 판매량이 2만대를 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전용단말을 통한 콘텐츠 판매 실적도 대부분의 업체들에서 기대 이하로 평가됐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솔직히 콘텐츠 판매량을 공개하기가 창피할 정도의 수준밖에 안 된다"고 말했고 또 다른 관계자도 "무료로 제공되는 책 이외에는 수요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나마 교보 만이 전용 단말기 출시 이전보다 올들어 월평균 300~600%가 넘는 성장세를 보여 가능성을 남겼다. 출판업계 관계자는 "e북 전용 단말에 대한 기대가 큰 만큼 수요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반면 아이폰의 위력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느낌"이라며 "시장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흐름이 바뀐 것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