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분자컴퓨터 개발 한발짝 다가서

휴렛팩커드-UCLA, 정보흐름제어 특허휴렛팩커드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 연구팀이 분자컴퓨터 개발을 위한 장애물을 또 하나 넘었다. 미 국방부의 자금지원을 받고 있는 휴렛팩커드-UCLA 공동연구팀은 23일 분자컴퓨터 현실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미소 회로의 정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들과 예일대- 라이스대 분자컴퓨터 연구팀 등은 차세대 실리콘 반도체만큼 강력하면서도 먼지처럼 뿌릴 수 있는 초소형으로 혈관 속에서 질병을 진단할 수도 있는 분자컴퓨터 개발 경쟁을 하고 있다. 휴렛팩커드의 스탠리 윌리엄스 박사는 "앞으로 10년 안에 우리는 분명히 분자실리콘 합성회로를 만져볼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면서 "분자는 컴퓨터 업무의 상당수를 점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하일 로코 백악관 나노 기술 개발지원팀장은 정부는 분자컴퓨터 개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6억400만달러를 지출한다면서 이는 지난해에 비해 45%나 늘어난 금액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이들은 지난해 분자 크기의 스위치를 폭이 원자 6~10개, 높이가 분자 2개 정도 크기인 화학적인 선(wires)과 연결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만드는 화학공정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한 바 있다. LA타임스=본지특약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