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인 일자리 크게 늘린다

정부, 내년 400억 투자 40% 확대키로

실버대리운전, 가사도우미, 교육강사, 문화재 해설사 등 내년부터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노인들의 일자리가 다양화하고 규모도 커진다. 29일 재정경제부와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65세 이상 노인들이 특기를 살려 사회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내년 400억원이 투자된다. 이는 올해의 284억원에서 40.8% 증가한 것이다. 일자리 숫자도 올해의 2만5,000개에서 3만5,000개로 40% 늘어난다. 노인 일자리 사업은 지난 7월 시범사업으로 처음 도입돼 아직 틀이 잡히지 않았으나 내년부터 노인들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도 필요한 분야의 일자리를 집중 개발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노인 일자리는 자연환경정비, 거리환경 개선, 교통질서 지도, 방범순찰, 행정기관 보조 등 지방자치단체가 해야 할 일들로 하루 3시간 정도 시간을 내면 가능한 분야들이 우선 검토되고 있다.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이용한 일자리로는 교육 강사, 숲 생태 해설가 등이 있으며 신체적으로 건강한 노인들을 위해서는 인력풀을 만들어 주유원, 판매원,운전사, 급식지도원, 주례, 가사도우미 등으로 파견하는 방안도 강구되고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소규모 사업단을 만들어 지하철 택배, 세탁방, 도시락사업, 재활용품점, 번역ㆍ통역사업단, 유기농사업, 주말농장, 실버용품숍, 실버대리운전 등의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노인 일자리 사업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비용을 절반씩 부담하고 사업추진은 지자체가 맡게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