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베르테르 효과?

이은주씨 死後 자살 2.5배 늘어


‘자살도 유행(?)’ 유명 영화배우 이은주씨가 자살한 후 모방자살이 급증하면서 종로구 등 서울중앙지검 관내 자살이 2.5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매체가 이씨의 자살을 흥미 위주로 집중 부각시키고 ‘영화 같은 죽음’ 등 낭만적으로 표현하면서 충동적인 20대의 자살이 급증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유명인 자살 뒤 일어나는 연쇄 모방자살인 이른바 ‘베르테르 효과’가 현실로 나타난 것.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석동현 부장검사)는 올들어 이달 17일까지 관내에서 발생한 변사사건을 분석한 결과 이씨가 숨진 지난 2월22일 이후 하루 평균 자살자는 2.13명으로 그전의 0.84명에 비해 2.5배 늘었다고 23일 밝혔다. 이씨 자살 뒤 20대 자살자는 15명(30.6%)으로 이전의 7명(15.5%)에 비해 2배나 늘었고 자살방식도 이씨처럼 목을 매는 형태가 74명(79.6%)으로 이전의 49명(53.3%)보다 25명이 증가했다. 특히 이씨처럼 20대이면서 목을 매 자살한 사람은 종전에 7명 중 3명이었으나 이후에는 15명 중 14명으로 압도적으로 모방자살이 많았다. 이씨처럼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자 수는 5명에서 8명으로 늘었지만 의미 있는 변화는 아니었고 전체 자살자 중 남자(66명)와 여자(28명)의 성비도 2.4대1로 집계돼 그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20대의 자살 증가는 청년기의 돌발적ㆍ충동적인 감정이 극단적인 행동으로 이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자살방식의 변화에는 이씨 사건의 모방성향이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급격한 자살 증가추세가 단기적 현상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지만 대중매체가 유명인의 자살을 흥미 위주로 계속 다룬다면 모방자살 추세가 계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