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주도하는 대외 농업기술 지원사업이 우리나라의 새로운 국제협력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농업기술의 전수 및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는 농업진흥청은 올 초 동남아국가들에 이어 며칠 전에는 아프리카 16개 국가가 참여하는 '한ㆍ아프리카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KAPACI)'를 출범시켜 아프리카대륙에 한국을 심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 같은 농업기술지원사업은 심각한 식량난에 시달리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것일 뿐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이미지와 위상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오랫동안 외국의 원조를 받아오다 원조공여국 위치가 된 우리로서는 앞으로 국제사회에 대한 책임과 의무도 그만큼 커지게 됐다. 정부가 공적개발원조(ODA)를 비롯한 유ㆍ무상 원조자금을 꾸준히 늘려나가고 있는 것도 이 같은 국제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덮어놓고 원조 규모만 늘린다고 해서 책임을 다하는 것은 아니다. 원조를 받는 나라들이 필요로 하고 그들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져야 윈윈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물고기를 주는 '죽은 원조'가 아니라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치는 '산 원조'가 돼야 하는 것이다. 녹색혁명을 통해 식량증산에 있어 세계적인 기술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는 농진청의 농식품기술 협력사업은 바로 이 같은 조건에 가장 적합한 원조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동남아 일부 국가들과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낙후된 지역으로 식량난 해결이 가장 절실한 과제이다. 농진청의 농업기술 지원사업에 이들 국가들이 적극 참여하고 진심으로 고마움을 표시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농업기술지원 통해 우호적인 관계를 강화해나갈 경우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아프리카에서 우리의 입지도 크게 확대될 것이다.
원조공여국으로의 전환과 때맞춰 가동된 농업기술협력 사업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ODA를 비롯한 대외원조계획수립에 전문가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농업 관련 협력 및 지원사업의 비중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는 해외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실업문제 해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