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학기술 패러다임 바꿔야"

경제성장 기여했지만 환경오염등 부작용<br>과학기술정책硏 설문조사

우리 국민 대다수가 과학기술이 국가발전을 이끌었지만 환경오염과 기후변화ㆍ소득불균형 등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도 초래했다고 인식하고 있어 과학기술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지난달 17일부터 8일 동안 20∼50대의 일반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미래비전'을 주제로 e메일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의 경제성장(79%)과 삶의 질 향상(76%)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여성보다 남성이, 소득이 높을수록 긍정적 응답이 많았다. 일반인들이 실제 느끼는 과학기술의 혜택은 난치병 극복에 따른 건강한 삶(46%), 값싸고 질 좋은 다양한 제품 사용이 주는 편리함(24%), 새로운 세계 발견(1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부작용과 이에 따른 두려움이 큰 이슈로는 모두 환경오염과 기후변화가 꼽혔다.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으로 '환경오염ㆍ기후변화'가 심각하다고 꼽은 응답자가 88%(매우 심각 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소득 불균형의 심각성을 꼽은 응답자가 77%(매우 심각 18%)로 2위를 차지했다. 과학기술 발전이 주는 두려움을 묻는 질문에도 '환경오염ㆍ기후변화'를 꼽은 응답자가 49%로 가장 많았다. 과학기술의 부작용으로 환경오염과 소득불균형이 1~2위를 다퉜지만 정작 이런 문제를 과학기술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전망한 응답자는 적었다. 환경오염 극복, 불균형 격차 해소, 유비쿼터스 생활, 난치병 극복 등 여섯 가지 주제를 제시하고 각각의 이슈에 대한 과학기술의 문제 해결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1%는 "과학기술이 불균형 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없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13%에 불과했다. 30년 뒤 대한민국에 가장 필요한 과학기술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대체 에너지 개발(47%)과 생명 의료기술(30%)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국제적으로 가장 협력해야 할 국가로는 지금이나 30년 뒤에도 미국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고 STEPI는 전했다. 송종국 STEPI 선임연구위원은 설문 결과에 대해 "지금까지는 미래비전을 세우기 위한 과학기술의 기능적 측면이 강조됐다면 이제는 감성적 휴머니즘과 소프트웨어적인 접근과 활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