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R&D·M&A지원 글로벌 제약사 만든다

정부, 신약개발 펀드 2兆 조성


정부가 신약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조원 규모의 신약 연구개발(R&D) 펀드를 조성하고 세액을 공제해주기로 했다. 또 영세한 제약업체를 대형화하기 위해 인수합병(M&A)을 적극 추진한다. 정부는 7일 기획재정부ㆍ보건복지가족부 등 9개 부처 합동으로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에서 정부는 ▦신약 R&D 활성화 ▦제약산업 구조 혁신 ▦해외진출 활성화 ▦유통구조 개선 ▦국가적 질병대응체계 구축 등을 5대 추진과제로 선정했다. 정부는 우선 제약기업의 대규모 R&D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민관 신약 R&D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지식경제부가 700억원 규모로 조성한 '바이오-메디컬 펀드'의 자금을 확충하고 후속 펀드를 설립해 펀드 규모를 연내 3,000억원으로 늘리는 한편 5년 내 2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신약 R&D에 대한 세제지원 규모도 늘린다. 정부는 이달 중 바이오 제약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 R&D 세제지원 대상에 포함시켜 제약산업 R&D에 대한 세액공제를 세계 최고 수준인 20%로 확대한다. 중소 제약사는 3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신약 개발과 관련된 재정지원도 확충된다. 정부는 지난해 1,256억원의 신약 개발 예산을 오는2012년 1,900억원 이상으로 늘리고 복지부의 올해 보건의료 R&D사업 지원예산도 2,12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4% 확대했다. 정부는 또 신약 R&D를 촉진하기 위해 R&D 투자가 활발한 기업과 높은 수준의 R&D로 개발된 의약품에는 약가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R&D 비용부담이 큰 개량신약이나 생물의약품에도 최초 등재시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다. 제약사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규모로 키우기 위해 정부는 제약기업 간 M&A에 대한 컨설팅 및 세제, 펀드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내년부터 기술거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나가기로 했다. 특히 성장도약 단계에 있는 유망 제약 벤처기업을 선정해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지원을 늘리고 제조시설 없이 기술과 아이디어만 있어도 생산이 가능하도록 위탁생산기업(CMO)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향후 30년간 글로벌 수준의 첨단 신약 16개를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종합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신약 개발 클러스터를 송도 BRC센터 등에 두는 방안도 검토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