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브라질 구제금융 임박

외환위기를 겪고있는 브라질에 대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지원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남미를 비롯한 신흥개도국의 경제위기가 한풀 꺾일 전망이다. IMF와 브라질 양측은 20일 공동성명을 발표, 300억달러 금융지원에 잠정 합의했으며 내주중 합의내용을 공식발표할 예정이다. 국제금융계는 브라질의 구제금융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일단 남미국가의 연쇄부도위기가 진정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그동안 남미 붕괴는 이 지역에 수백억달러의 채권이 물려있는 미국에 치명타를 입힐 것으로 우려돼왔다. 특히 세계경제의 보루 미국마저 위기에 휩싸일 경우, 세계경제는 걷잡을 수 없는 대혼란으로 빠져들 것이기 때문이다. 브라질은 구제금융 조건으로 초긴축 재정을 실시,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7%인 재정적자를 2000년내에 0%까지 낮추기로 했다. 브라질 정부는 당장 올해 공공지출을 170억달러 삭감할 계획이다. 내달 발표될 예산안에는 이를 위해 금융거래세율 0.1% 포인트 인상 부유세 신설 지방정부 재정적자시 제재 사회보장제도 개혁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브라질 외환위기의 주원인인 재정적자가 브라질 정부의 뜻대로 감축될지 회의적이다. 무엇보다 재정적자의 근본 원인인 비대한 정부조직과 방만한 연금체계를 뜯어고치기가 힘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국들이 과도한 민간기업부채 때문에 위기를 맞은 반면 브라질 등 남미국들은 지나친 재정적자와 정부 부채의 청산이 위기해결의 관건인 셈이다. 브라질은 공공부채가 무려 GDP의 7%인 9,000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먼저 엔리케 카르도수 브라질 대통령은 긴축재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키기 위해 이번 주말 주지사선거에서 승리해야 하지만 이마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여기다 헤알화 방어를 위해 50%까지 금리를 올렸기 때문에 추가로 부담해야할 이자액이 매달 27억달러에 달하고 있어 정부의 재정위기를 더욱 압박할 가능성이 없지않다. 국제금융계는 그러나 브라질이 국제사회의 지원으로 국가부도를 면하면서 경제개혁에 매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는데 기대를 걸고 있다. 지난 4일 재선에 성공한 카르도수는 지난 4년 동안 인플레 억제, 국영기업 민영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개혁성향의 인물인데다 선진 채권은행들이 적극 차관제공에 나서고 있다. 실제 미 수출입은행은 브라질에 대한 차관 한도를 20억달러 늘리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국제사회가 브라질 살리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는 만큼 브라질의 회생을 시작으로 아시아, 러시아에서 남미로 번지고 있는 개도국위기가 한풀 수그러들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병관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