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전자 스마트폰 사업 6분기만에 776억 적자

G4·V10 전략폰 판매 부진

G4·V10 등 전략 스마트폰의 부진 속에 LG전자 스마트폰 사업이 6분기만에 780억원에 이르는 영업적자를 냈다. LG전자는 프리미엄·보급형으로 스마트폰을 이원화하는 투트랙 전략을 본격 가동, 수익성을 회복하면서 미래사업인 자동차부품(VC) 사업본부의 성장을 다각도로 꾀하기로 했다.

LG전자에서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한 모바일커뮤니케이션(MC) 사업본부는 3·4분기에 영업적자 776억원을 봤다고 29일 밝혔다. 스마트폰 사업에서의 부진이 이번에도 실적의 발목을 잡았다. MC사업본부의 영업적자는 지난 해 1·4분기 73억원의 손실을 본 이래 6분기만이다.

G4·V10 같은 최신 전략 스마트폰의 판매가 부진한데다 신흥국 환 가치 약세가 겹치며 피해가 커졌다. MC 사업본부는 2·4분기에도 불과 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고전을 면치 못하는 분위기다. MC 사업본부 관계자는 이날 "4·4분기부터 프리미엄과 보급형 스마트폰으로 나누어 세계 시장을 공략하는 투트랙 전략을 취하겠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올 들어 첫 분기 흑자를 달성한 TV와 생활가전의 선방 속에 전사적으로는 지난 분기에 매출액 14조288억원, 영업이익 2,94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의 14조7,130억원에 비해 5% 정도 감소했고 전분기 13조9,257억원에 비해서는 0.7% 올랐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4,650억원에 비교하면 36.8%나 감소했으나 전 분기에 비해선 20.5% 올랐다.

정도현 LG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투자 설명회에서 "LG전자가 지난 3·4분기에 환율로 입은 부정적 영향이 전년 동기 대비 5,300억원에 이른다"고 말했다. LG전자가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적극 육성하는 VC 사업본부도 적자폭을 8억원으로 줄이며 흑자전환 가능성이 한결 커졌다. LG전자측은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외 타 업체에도 구동부품을 공급하는 방안과 관련 인수합병(M&A) 등을 고려하고 있다"며 "2020년까지 VC 사업본부 매출 성장률을 매년 두자릿수대로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