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한글상표 늘었지만 여전히 영문이 많아

5년간 지속적 증가 추세

국내에 출원된 문자상표 중 한글상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7일 특허청에 따르면 문자상표 중 한글상표의 비중은 2010년 29.0%에서 2011년 30.0%, 2012년 30.5%, 2013년 31.4%, 2014년 34.1%, 2015년(상반기) 34.2%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글상표의 비중이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외국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분위기 속에서도 상표분야에서 한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최근 10년간 출원된 문자상표 전체로 보면 한글상표의 비중이 30.5%(29만4,156건)로서 영문 등 로마자로 표기된 상표(이하 로마자상표) 50.3%(48만4,990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 아직은 표장으로서 한글상표보다 로마자 상표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10년간 출원된 한글상표를 상품·서비스업별로 살펴보면, 요식업·숙박업이 3만3,166건(11.3%)

로 가장 많았고, 광고업·기업관리도소매업이 2만9,191건(9.9%),

커피·차·쌀·곡물가공품이 2만981건(7.1%)으로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