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으로 국론이 분열된 상황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로 그가 추진했던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이 재조명되고 있다. 반(反)독재와 친일 잔재 청산에 매진했던 김 전 대통령이 던졌던 메시지가 현 정국 아래서 새로운 울림을 주고 있다.
'민주화'의 상징적 인물이던 김 전 대통령은 유신체제 아래서부터 박정희 전 대통령과 대립하면서 반독재 투쟁을 이끌었다. 또 다른 민주화 운동의 축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국회 안팎에서 원내·재야 투쟁의 중심에 섰다.
권위주의와 맞서며 굳건하게 형성됐던 김 전 대통령의 역사관은 그가 지난 1993년 청와대에 입성한 후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으로 구체화됐다. 김 전 대통령은 문민정부의 최우선 국정 방향으로 역사 바로 세우기를 천명하고 일제 및 독재 체제 청산에 나섰다. 이 시기 5·18특별법 제정,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하나회 척결 등 굵직한 업적이 세워졌다.
국정화 논란의 시발이던 근현대사 교과서의 검정제 도입도 김영삼 정부 시절 처음 논의된 것이다. 정부 산하 교육개혁위원회는 1995년 '2차 대통령 보고서'를 통해 "교과용 도서 발행에 관한 모든 권한이 교육부에 집중돼 있어 학생들의 사고를 획일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인식에 근거해 근현대사의 검인정제 전환 등이 추진됐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의 역사 행보는 국민들의 큰 지지를 얻었다. '정치적 탄압'이라는 반대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임기 초반 김 전 대통령은 90%에 육박하는 고공 지지율로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의 추진력을 얻었다. 그는 1995년 12월12일 담화문에서 "역사 바로 세우기는 국민의 자존을 회복하고 나라의 밝은 앞날을 여는 명예혁명"이라며 "군사문화의 잔재를 과감히 청산하고 쿠데타의 망령을 영원히 추방함으로써 민주주의를 확고히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국정화 정국에서 김 전 대통령은 치료 중이어서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차남 김현철씨는 현 정권의 국정화 움직임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김씨는 지난달 28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조선총독부 철거를 반대하고 5·16을 혁명이라고 떠드는 세력들이 바로 교과서 국정화의 주역들"이라며 국정화 시도의 '숨은 의도'를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권은 이번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그의 '역사인식'을 다시 생각해볼 때라며 국정화 추진에 나선 현 정부를 비판했다. 유은혜 새정연 대변인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한국의 민주화와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을 이끌었던 김 전 대통령의 과거 메시지를 다시 생각해볼 때"라며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으로 역사를 후진시키려 하는 현 정권은 그 시도를 즉각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화'의 상징적 인물이던 김 전 대통령은 유신체제 아래서부터 박정희 전 대통령과 대립하면서 반독재 투쟁을 이끌었다. 또 다른 민주화 운동의 축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국회 안팎에서 원내·재야 투쟁의 중심에 섰다.
권위주의와 맞서며 굳건하게 형성됐던 김 전 대통령의 역사관은 그가 지난 1993년 청와대에 입성한 후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으로 구체화됐다. 김 전 대통령은 문민정부의 최우선 국정 방향으로 역사 바로 세우기를 천명하고 일제 및 독재 체제 청산에 나섰다. 이 시기 5·18특별법 제정,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하나회 척결 등 굵직한 업적이 세워졌다.
국정화 논란의 시발이던 근현대사 교과서의 검정제 도입도 김영삼 정부 시절 처음 논의된 것이다. 정부 산하 교육개혁위원회는 1995년 '2차 대통령 보고서'를 통해 "교과용 도서 발행에 관한 모든 권한이 교육부에 집중돼 있어 학생들의 사고를 획일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인식에 근거해 근현대사의 검인정제 전환 등이 추진됐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의 역사 행보는 국민들의 큰 지지를 얻었다. '정치적 탄압'이라는 반대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임기 초반 김 전 대통령은 90%에 육박하는 고공 지지율로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의 추진력을 얻었다. 그는 1995년 12월12일 담화문에서 "역사 바로 세우기는 국민의 자존을 회복하고 나라의 밝은 앞날을 여는 명예혁명"이라며 "군사문화의 잔재를 과감히 청산하고 쿠데타의 망령을 영원히 추방함으로써 민주주의를 확고히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국정화 정국에서 김 전 대통령은 치료 중이어서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차남 김현철씨는 현 정권의 국정화 움직임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김씨는 지난달 28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조선총독부 철거를 반대하고 5·16을 혁명이라고 떠드는 세력들이 바로 교과서 국정화의 주역들"이라며 국정화 시도의 '숨은 의도'를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권은 이번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그의 '역사인식'을 다시 생각해볼 때라며 국정화 추진에 나선 현 정부를 비판했다. 유은혜 새정연 대변인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한국의 민주화와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을 이끌었던 김 전 대통령의 과거 메시지를 다시 생각해볼 때"라며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으로 역사를 후진시키려 하는 현 정권은 그 시도를 즉각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