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뉴욕증시 기술주 실적 기대감에 상승 마감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에도 이번주 미국 기술기업의 실적 발표를 앞둔 기대감에 소폭 올랐다. 19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57포인트(0.08%) 상승한 17,230.5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55포인트(0.03%) 오른 2,033.6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8.78포인트(0.38%) 오른 4,905.47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 경제 성장률 둔화 우려로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좁은 폭에서 등락하다 장 막판 소폭의 상승세로 거래를 마쳤다. 이번주 주요 기술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둔 기대가 지수 상승을 이끈 요인이 됐다. 뉴욕의 세 지수 중 나스닥의 오름폭이 가장 컸다.

이날 장 마감 후에는 IBM이 실적을 발표하고, 이번주 야후와 구글의 지주회사인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이외에도 S&P 500 구성 기업 중 5분의 1이 넘는 회사들이 이번주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포트 핏 캐피털의 김 포레스트 애널리스트는 “이번주 기술기업의 실적을 기다리고 있다”며 “이를 통해 기업이 투자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작년대비 6.9% 성장을 기록해 정부 목표치인 7.0%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2009년 1분기 6.2% 이후 처음으로 7.0%를 밑돈 것이다. 다만, 시장 예상치 6.8%보다는 소폭 높게 나타났다. 이날 함께 발표된 9월 산업생산과 도시지역 고정자산투자는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전문가들은 중국 성장률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지만, 여전히 지표 신뢰성에는 의문이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모건스탠리의 3분기 순이익은 10억2천만달러로 전년동기보다 39.6% 하락했고, 수익(revenue)도 77억7천만달러로 12.7% 감소했다. 수익이 시장 예상치를 충족하지 못하면서 주가도 4.8% 떨어졌다. 에너지업종인 핼리버튼은 주당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매출이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서 주가는 1.2%가량 내렸다. 완구업체인 해즈브로 또한 이익은 예상을 충족했지만, 매출이 예상치를 하회하며 7.2% 하락했다.

미국의 주택지표는 긍정적으로 발표됐다. 10월 미국 주택건설업체들의 신뢰도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해 주택시장이 전히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전미주택건설협회(NAHB)/웰스파고에 따르면 10월 주택시장지수는 전월 수정치 61보다 상승한 64로 집계돼 2005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62를 상회한 것이다.

이날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의 연설이 예정돼 있었지만, 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된 발언은 나오지 않아 시장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라엘 브레이너드 Fed 이사는 소형 은행들을 대상으로 한 과도한 규제들을 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시카고연방준비은행 규제 관련 행사에 참석, 개회사를 통해 소형 은행들은 규모가 크거나 복잡한 기관들보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위험이 작다며 소형 지방 은행에 부과된 형식적인 규제들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