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서울경제TV] “올해도 배당주펀드 인기있다고 전해라”

배당주펀드 수익률, 주식수익률+배당수익률

지난해 정부정책 힘입어 배당 사상최대 22조원

코스피 배당수익률 2% 육박… 기준금리 추월

[앵커]

지난해 기업들의 배당확대 기조에 힘입어 배당주 펀드가 저금리시대 새로운 대안으로 급부상했습니다.


은행 금리에 만족 못하고, 투자상품의 변동성이 두려운 투자자들에게 배당주 펀드가 올해도 힘이 되어줄 수 있을지 정훈규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배당주 펀드가 9%에 가까운 평균수익률을 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펀드평가사인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국내에서 운용 중인 배당주 펀드의 지난해 평균 수익률은 8.59%였습니다. 이는 코스피지수 상승률과 일반주식펀드는 물론 지난해 돌풍을 일으킨 중소형주 펀드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지난해 배당주 펀드는 어떻게 9%에 가까운 수익률이 가능했을까. 배당주 펀드는 주식수익률에 배당 수익률이 추가로 더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배당을 많이 하는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는 정부 정책에 따라 지난해 삼성전자, 현대차, 포스코 등 기업들이 배당을 대폭 늘렸습니다.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의 배당액은 22조2,950억 원으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되면 기존 최대치였던 2014년의 16조5,000억 원보다도 6조 원이 더 많습니다.

관련기사



반면 금리는 사상 최저 수준이 유지되고 있어, 배당주 펀드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습니다. 지난해 코스피 배당수익률은 2%에 육박해 사상 처음 한국은행 기준금리(1.5%)를 앞질렀습니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낮은 은행금리와 배당 확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문수현 NH투자증권 책임연구원

“지난해 정부의 배당확대 정책으로 인해서 배당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올해에도 이런 정부 정책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여서 올 한해도 배당주펀드가 유망할 것으로 보입니다. ”

새해 첫날부터 시작된 중국증시의 불안으로 투자에 대한 두려움이 커진 점도 배당주 펀드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합니다. 배당은 기업의 튼실함을 알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안전성향이 높아질수록 자금을 빨아들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전통적인 고배당주 펀드보다는 배당 성장주에 투자하는 상품이 수익률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조언합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