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자체 직영 노인·사회복지관 10 중 7곳 ‘F’

지자체 직영 노인·사회복지관 10 중 7곳 ‘F’

복지부 평가, 민간위탁시설은 9곳꼴 A등급



지방자치단체가 직영하는 노인·사회복지관 10곳 중 7곳이 보건복지부의 평가에서 F등급(60점 미만) 평점을 받았다. 반면 민간위탁시설은 10곳 중 9곳가량이 A등급(90점 이상)을 받아 대조를 이뤘다.

1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자체가 직영하는 노인복지관 44곳 중 31곳(70%), 사회복지관 31곳 중 23곳(74%)이 낙제점인 F등급을 받아 품질관리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영시설 전체의 평점도 58.5점과 56.8점으로 F등급을 맴돌았다.


이와 달리 민간에 위탁한 사회복지관 398곳 중 354곳(89%), 노인복지관 204곳 중 171곳(84%)은 A등급을 받았다. 위탁시설 전체의 평점도 93.6점, 91점으로 A등급이었다. F등급은 한 곳도 없었다.

관련기사



이번 평가는 노인·사회복지관과 양로시설(노인주거복지시설), 한부모가족복지시설 등 4개 유형의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시설·환경, 재정·운영,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종합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시설 간 양극화도 심화됐다. 평가대상 복지시설 839곳 중 A등급을 받은 곳은 72%로 2012년 평가 때보다 15%포인트 증가했다. 그러나 중간인 B·C등급은 34%에서 19%(159곳)로 줄고 하위 D·F등급은 8.5%에서 8.7%(73곳)로 늘었다.

모두 민간위탁 시설인 양로시설과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중 A등급은 59%, 45%였으며 F등급은 0%, 1%였다. 전체 시설의 평점은 88.8점으로 2012년보다 2점 높아졌다. 시설 유형별로는 사회복지관이 91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규시설이 많았던 노인복지관이 85.2점으로 가장 낮았다. 상승폭은 양로시설이 3.1점으로 가장 컸다.

복지부는 우수한 평가를 받거나 평점이 크게 개선된 시설엔 인센티브를 주고 D·F등급 시설엔 서비스 품질관리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