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ETRI, 기업체 맞춤형 수요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수요를 받아 국가 연구개발 로드맵에 맞춰 기술을 발굴하는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대형교량이나 터널의 안전성 감지 및 진단용 스마트 센서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초소형 광학엔진 등을 개발하고 특허 시제품을 제작해 지역산업 육성과 중소기업의 매출증대에도 톡톡히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ETRI는 기존에는 기업의 수요만 받아서 연구개발을 해줌에 따라 다소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어 왔는데 기업수요에 국가 연구개발 로드맵을 적용, 기업과 머리를 맞대고 공동연구 한 결과,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해준 융합제품 상용기술로는 환경 통합관리 시스템용 초소형 광학엔진을 비롯, 3차원 광 스케닝용 용접작업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등 5가지의 상용기술이다. 현재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특히, 상용기술 중 ‘상황인지기반 양방향 방송단말’은 사물인터넷(IoT) 장치를 통한 양방향 마을방송 시스템으로, 전남 진도지역 마을을 대상으로 올해초 마을방송 시범사업도 연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ETRI는 지역 내 스마트 가전 기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연구진이 적극적인 기술교류회를 통해‘다기능 스마트 세탁기’등 신규 제품 개발 아이디어를 공동으로 도출한 것이다.

또한 올해는 광인터페이스 및 광의료융합 분야 기술교류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분야 애로사항 파악을 통해 산업체 진단과 공동개발 희망업체 조사 분석을 통해 기업을 연계지원 할 예정이다.

ETRI 김영선 호남권연구센터장은 “연구 기획부터 상용화에 이르기 까지 연구개발 전주기에 걸쳐 중소기업을 지원함으로써 기술의 완성도 제고 및 개발제품의 적기 시장진입을 가능케 해줘 기업 매출증대 견인 역할을 계속 수행할 것이다”고 말했다.

ETRI는 그동안 광센서 분야 34개 기업체 및 스마트가전 분야 27개 기업체와 기술교류회 운영, 기술이전 1건, 신규 공동연구 2개 기술 발굴했고 신규 개발 아이템 11개 발굴, 기업체 수요기반 공통 애로기술 2회 지원 등 ETRI와 기업체간 상생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다양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