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KDI, “올해 서울 주택시장··재건축 발 전세난 한층 심해진다”

3만가구 이주 예정··입주 물량보다 훨씬 많아

전국에서 가장 가파른 속도로 전셋값 ↑



전세 물량이 월세로 가파르게 전환되면서 전셋값 상승을 부채질 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서울의 재건축발 전세난이 한층 심화할 것이란 국책연구기관의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7일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서에서 “기대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해 전세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시중금리보다 높은 전·월세 전환율에 따라 전세공급 물량이 축소되고 있는 ‘공급과 수요의 미스매치’가 올해도 지속할 것”이라며 “특히 서울의 경우 재건축이주 예정가구가 3만가구로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인 2만3,000가구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상돼 전세 가격 상승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서울 재건축 이주 가구는 2012년 4,783가구에서 △2013년 4,983가구 △2014년 8,158가구 △2015년 1만9,622가구로 불과 3년 만에 4배 이상 증가했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와 분양가상한제 등 각종 정비사업 활성화를 가로막던 ‘대못 규제’가 풀리면서 십 수년째 답보상태였던 정비사업들이 차츰 정상궤도를 찾아간 결과다. 하지만 재건축 활성화의 후유증도 물론 있다. 수 만명의 재건축 이주수요가 동시다발적으로 쏟아져 나올 경우 주변 임대시장이 일대 혼란을 겪는 것은 불문가지다. 가뜩이나 임대인은 월세를 선호하고 임차인은 전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시기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은 73.4%로 2011년보다 22.6%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전세가율이 23.3%포인트 증가한 인천(73.7%)에 이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것이다. 서울의 전세 거래량이 지난해 3·4분기와 4·4분기 각각 20%, 18.8% 줄었지만 역으로 월세 거래량 증가율은 8.0%, 18.6%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송인호 KDI 연구위원은 “지난해 4·4분기 주택 임대시장은 전셋값 상승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월세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다”며 “올해도 전세공급 물량 축소와 기대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전세수요 확대 등으로 전세난이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

관련기사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