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은행 세뱃돈 신권'골머리'...'돈 만드는 데 들어간 돈' 1,500억

한국조폐공사 경산 화폐본부가 5만원권 제작하는 광경한국조폐공사 경산 화폐본부가 5만원권 제작하는 광경







설을 앞둔 한국은행이 세뱃돈 신권 수요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화폐제조비용은 1,4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8.5% 늘었다.

관련기사



연간 화폐제조비용은 5만원권이나 새 1만원권 발행 등 신권 교체 수요가 있을 때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지난해엔 2013년에 비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담뱃값 인상으로 500원 짜리의 수요가 늘어난 점 등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매년 설을 앞두고 한은이 찍어내는 화폐 규모도 늘고 있는 추세다. 설 직전 10영업일 간 화폐 순발행액은 2013년 4조 4,000억원에서 2014년엔 5조 2,000억원으로 늘었고, 작년에도 5조2,000억원 선을 유지했다.

한은은 이번 설을 앞두고 신권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포스터 및 라디오 광고 등을 통해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 광고엔 “세뱃돈, 꼭 새 돈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마음을 담은 깨끗한 돈이면 충분합니다”라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한편 최근 동전을 녹여 구리 등 원자재를 재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과 관련, 국회는 이에 대한 처벌을 2배로 강화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는 주화훼손 행위에 대한 처벌을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높이는 한은법 개정안이 소위원회를 통과했다.

한은 관계자는 “화폐가 훼손되면 개인의 재산 손실뿐 아니라 화폐제조비용도 늘어나기 때문에 깨끗이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상훈 기자 ksh25th@sed.co.kr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