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다시 '키' 쥔 정의화 의장 이번엔 여당 손 들어주나

원샷·北인권법 직권상정 '장고'

1일 여야 접촉… 합의 어려울듯

정의화 국회의장 인터뷰10

정의화 국회의장의 손에 다시 한 번 쟁점법안의 운명이 쥐어졌다.

정 의장이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원샷법)'과 북한인권법의 직권상정을 놓고 장고에 들어갔다.

지난 29일 본회의에서 두 법을 처리하기로 한 합의를 더불어민주당이 일방파기한 탓에 직권상정을 요구하는 새누리당의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월1일 정 의장을 방문해 포위망을 좁혀들어갈 예정이다. 합의 파기의 책임이 야당에 있는 만큼 명분이 있다는 계산에서다. 이장우 새누리당 대변인은 31일 기자회견에서 "더민주가 23일 합의문의 잉크도 마르기 전에 손바닥 뒤집듯 약속을 파기했다"며 "의장의 직권상정 결단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키웠다.

정 의장은 일단 여야가 머리를 맞대어 막판 합의를 시도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의장실 고위관계자는 3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여당을 먼저 내일 만나기로 했지만 그날 중에는 여야가 함께 이야기를 해야 한다"며 "여야에 접촉을 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정 의장의 바람과는 달리 합의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목희 더민주 정책위의장은 3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2월23일까지 선거법을 통과시키지 못하면 재외선거인명부를 못 만들기 때문에 선거를 할 수 없다"며 "선거법을 먼저 처리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만약 합의가 안 됐다고 직권상정을 한다면 남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노동4법 등 쟁점법안에 대해서 절대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전경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