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시 ‘아파트 관리품질 등급제’ 96개 단지에 시범 실시

2~7월 평가…단계적으로 2,171개 전 단지 확대

서울시가 연내 ‘아파트 관리품질 등급제’ 시행을 앞두고, 3일 평가단을 위촉해 본격적인 평가에 나선다고 밝혔다.

아파트 관리품질 등급제는 단지별 관리 실태를 우수·기준통과·기준미달 등 3개 등급으로 평가·공개해, 시민들에게 제대로 된 아파트 관리품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다.

시는 의무관리 대상 아파트 총 2,171개 단지를 한번에 평가하기 어려운 만큼, 먼저 7월까지 1,500세대 이상의 대규모 단지 96곳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이어 2018년까지 1,000세대 이상 323개 단지, 이후에는 잔여세대 전체로 평가 대상을 확대해 단계적으로 평가를 완료한다.


아파트 관리품질 평가단은 서울YMCA 등 시민단체(4명), 건축사·기술사(9명), 공인회계사(7명), 관련 시정경험이 풍부한 퇴직공무원 등 행정분야(6명) 등 각 분야 단체에서 추천받은 전문가 26명으로 구성된다.

관련기사



평가 분야는 △행정 △건축 △회계 △기술 △공동체 등 5개 분야 149개 항목이다. 우수·기준통과 등급 단지는 서울시 공동주택 통합정보마당, 부동산 포털 사이트, 아파트 단지 게시판 등에 공개하고, 기준미달 등급 단지는 해당 단지에만 통보한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아파트 관리품질 등급제는 단지별 관리품질에 대한 주민들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는 등 주민이 아파트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라며 “공동체 이익을 추구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열정을 아파트 관리 투명성 강화로 연결시켜 맑은 아파트 만들기 문화를 정착시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아파트 관리품질등급제 주요 평가항목  /자료제공=서울시서울시 아파트 관리품질등급제 주요 평가항목 /자료제공=서울시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