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서울경제TV] 금리동결에도 은행 주택대출금리 3%대

14개 은행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 연 3%대

SH수협은행·광주은행 등 두곳만 2%대 유지

작년 6월 기준금리 낮추자 대출금리 2%대로

기준금리 동결에도 반년 안 돼 3%대로 복귀





[앵커]

한국은행은 지난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1.5%로 떨어뜨렸고, 그 영향으로 주요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대로 하락했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1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시 3%대로 오르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을 김성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취급액 기준으로 16개 은행 가운데 14개 은행의 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가 연 3%대로 올라섰습니다. 2%대 금리를 유지하는 곳은 연 2.99%인 SH수협은행과 2.92%인 광주은행 등 두 곳뿐입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1.5%로 내린 후 두 달째인 8월부터 시중은행 대부분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대로 떨어졌었습니다. 이후 지난 1월에도 금리가 동결됐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반년이 채 안 돼 3%대로 복귀한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주택담보대출 잔액 규모가 50조원을 넘는 거대 시중은행들의 금리는 전부 3.2%를 넘었습니다. 담보대출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은 3.24%, 2위인 우리은행은 3.26%로 나타났습니다. 신한은행은 3.24%, KEB하나은행은 3.2%이고 외국계인 한국씨티은행과 SC은행은 3.15% 수준이었습니다. 금융공공기관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도 각각 3.78%, 3.22%로 3%를 훌쩍 넘었습니다.


지방은행 중에는 제주은행 금리가 연 3.21%로 가장 높았고, 전북·부산·대구은행 모두 3.1%를 넘기며 그 뒤를 이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는 것은 금리 산출의 근거가 되는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인 코픽스 금리가 석 달 연속 올랐기 때문입니다.

관련기사



[인터뷰]이휘정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

은행의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코픽스 금리에 연동해서 움직이게 되는데요 코픽스 금리가 최근에 좀 상승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부분이 반영되서 주택담도대출금리가 그만큼 인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대출금리는 올랐지만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는 만기 1년 기준 대부분 연 1%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기적금 금리도 만기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연 2%대 수준입니다.

예금금리는 제자리 걸음인데 주택대출금리는 뛰어오르면서 부동산시장과 서민들의 마음은 얼어붙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성훈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김성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