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개인생활 중시 한국인 수면·식사시간 늘었다

LG경제硏 보고서

대면 교제·여가 활동은 줄어

지난 15년간 우리나라 국민이 개인 활동에 쓰는 시간은 늘었지만 타인을 직접 만나는 대면 교제나 여가 활동 등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00년 이후 한국인의 하루 24시간'이라는 보고서를 냈다. 이 보고서는 통계청이 5년마다 실시하는 '생활시간 조사 결과' 자료를 비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99년과 비교해 2014년 우리 국민의 개인 유지 생활은 10시간 11분에서 10시간 58분으로 47분 늘었다. 개인 유지 생활이란 수면이나 식사, 개인위생, 외모관리, 개인 건강관리 등의 활동을 말한다. 반면 일이나 가사·학습 등 의무생활은 22분(8시간 57분→8시간 35분), 교제 및 여가생활은 25분 줄었다.

특히 개인 유지 생활 중에서 일요일에 잠자는 시간이 큰 폭으로 늘었다. 20대 이상 성인의 일요일 수면시간은 1999년 8시간 20분에서 2014년 8시간 43분으로 23분 늘었다. 평일 수면시간이 5분 늘어난 것에 비하면 증가 폭이 크다.

줄어든 생활 행태 중에서는 대면교제 시간 감소가 가장 눈에 띄었다. 평일은 1999년 43분에서 2014년 28분으로 줄었고 일요일은 54분에서 34분으로 짧아졌다. 이와 달리 전화·e메일 등을 통한 평일 비대면 교제시간은 9분에서 16분으로 증가했다.

박정현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010년대 들어 교제 및 여가 활동을 줄이고 개인 유지 활동을 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며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쇼핑·통신·교제를 위한 시간이 단축된 요인이 있겠지만 개인의 자기관리 성향이 높아진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