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대박 아니면 쪽박… 천만 영화의 그늘

작년 관객·관람횟수 역대 최고에도 투자수익률은 4년만에 마이너스로

대작에만 관객 몰린 양극화 심화

제작비 낮을수록 수익률도 낮아져

왼쪽부터 암살, 국제시장, 베테랑.

지난해 한국영화는 천만영화가 속출하는 등 겉은 화려했지만 실속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15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극장에서 개봉한 한국 상업영화의 투자 수익률은 -7.2%로 잠정 집계됐다. 한국 상업영화의 투자수익률은 줄곧 손실을 내다 2012년 처음으로 13.3%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후 한국 영화 시장의 전반적인 성장세가 이어지며 △2013년 14.1% △2014년 0.3% 등 매년 플러스 수익을 거뒀지만 4년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선 셈이다. 영진위의 한국영화 투자수익률 조사는 2015년 극장 개봉한 한국영화 232편 가운데 상업영화로 분류되는 73편(총제작비가 10억 원 이상이거나 전국 개봉 스크린 수가 100개 이상인 작품)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국제시장, 암살, 베테랑 등 무려 세 편의 천만 영화를 배출한 것은 물론 극장을 찾는 관객 수나 관람횟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영화의 수익률만 반대 방향을 향해 가고 있는 셈이다. 한국영화 투자수익률이 이처럼 마이너스로 돌아선 가장 큰 이유는 흥행 영화에만 더 많은 관객이 몰리는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스타 감독이 스타급 배우들을 캐스팅해 대규모 제작비를 투입한 '대작'에만 관객들이 쏠리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 제작비 구간별 수익률을 살펴보면 80억 원 이상의 제작비를 투자한 블록버스터급 영화의 투자 수익률은 26.1% 흑자를 기록한 반면 평균제작비인 52.3억 원 이상 80억 원 미만 투자한 작품은 -22.2%, 10억 원 이상 52.3억 원 미만 투자한 작품은 -56.9%의 손실을 봤다. 제작비 규모가 작을 수록 평균 수익률이 낮아지는 현상이 뚜렷했다. 손익분기점을 달성한 영화는 16편에 그쳤다. 투자 이익을 본 영화는 2편 감소한 반면 투자 수익률 100% 이상을 거둔 작품은 2편이 증가했다.

한 영화 관계자는 "요즘 개봉 영화는 '초대박' 아니면 '완전 쪽박'이라는 농담이 현실이 되고 있다"며 "적절한 제작비로 200만~300만 관객 동원에 성공하는 이른바 '허리'급 영화가 점점 실종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전체 영화산업 매출은 2조1,131억 원으로 전년 대비 4.2% 성장하며 2년 연속 2조 원 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극장을 찾은 관객 수도 2억1,729만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으며 관람횟수도 4.22회로 전년 4.19회 대비 늘어나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015년 극장 개봉한 영화는 총 1,176편으로 2014년 1,095편 대비 7.4% 증가했으며 한국영화 완성작 수출실적은 2,937만 불로 전년 대비 11.3% 늘어났다.



관련기사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