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설 연휴 귀성길 “이동 거리 짧아지고 역귀성 늘었다”

설 연휴 귀성길 “이동 거리 짧아지고 역귀성 늘었다”

수도권 지역 내 고속도로 이용 차량 큰 폭 증가


역귀성 증가하고 교통량 전국 고속도로로 분산

최근 10년 사이 귀성길 이동 거리가 짧아지고 역귀성이 증가하는 등 설 연휴 고속도로 이용에 큰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공사는 산하 도로교통연구원이 최근 10년간 교통데이터를 바탕으로 귀성객들의 고속도로 이용 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이한 점은 대부분 귀성객인 설 전날 고속도로 이용 차량의 통행 거리가 크게 짧아지고 수도권 지역의 고속도로만 이용한 차량이 큰 폭 증가했다는 점이다.


설 전날 이용 차량의 고속도로 통행 거리는 2005년 82.7km에서 2016년 75.1km로 7.6km 줄어든 반면, 연평균 고속도로 통행 거리는 같은 기간 57.3km에서 56.2km로 1.1km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귀성기간 수도권 고속도로만 이용한 차량 비율은 2005년 49.4%에서 2015년 57.2%로 7.8%가 증가했지만, 전국적으로는 동일 권역 내에서만 이동한 차량 비율이 같은 기간 57.3%에서 60.7%로 3.4% 증가하는 데 그쳤다.

도로교통연구원 남궁성 교통연구실장은 “귀성길 차량 이동 거리가 짧아지고 수도권 지역 내에서만 통행한 차량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출생지와 거주지가 같은 토박이 비율이 수도권에서 많이 늘어난 것이 한 요인으로 작용해 오히려 수도권 차량정체가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서 전국 토박이 비율은 1995년 59%에서 2010년 60%로 1%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수도권 토박이 비율은 같은 기간 38%에서 46%로 8%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꾸준히 증가하든 역귀성 차량의 비율도 높아졌다. 설 전날 전체 고속도로 통행차량(수도권 내에서만 이동한 통행량 제외) 중 수도권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비율은 2005년 34.3%에서 2015년 36.6%로 2.3% 늘어났다.

이 같은 원인은 가구구조 변화와 고령층의 1인 가구 비율 증가 때문으로 분석되며. 설 연휴 기간 지방에 거주하는 홀몸노인들이 수도권에 있는 친지나 자녀를 보러 올라가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이 역귀성 차량증가에 한몫했다는 것이다.

실제 1995년 60세 이상 1인 가구 비율은 1995년 12%에서 2010년 18%로 늘어났으며, 설 연휴 고향을 방문하지 않는다고 답한 수도권 거주자 중 친지들이 방문하기 때문이라고 답한 비율은 2005년 0.8%, 2010년 13.9%, 2015년 14.9%로 역시 증가 추세에 있다./김천= 이현종기자 ldhjj13@sed.co.kr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