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최대 55%' 대형마트 마진율 백화점보다 높다

■ 중기중앙회 중기 애로 조사

경쟁적인 점포 확대로 납품 중기 희생양 삼아

시급한 현장 점검 필요

국내 대형마트들이 중소 납품업체를 상대로 너무 높은 수수료를 챙긴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부 품목의 마진율은 최대 55%에 달하고 있어 그 동안 문제가 됐던 백화점 수수료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5일 대형마트 납품 중소기업 292개의 애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제품군별 마진율이 최고 55.0%에 이르는 데다 물류비·유통벤더 수수료·판매장려금·판촉비 등을 고려하면 대형마트 납품업체 부담이 백화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는 납품업체별·품목별로 마진율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나 최고 마진율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나로마트가 55%로 가장 높고 홈플러스(54.5%), 롯데마트(50%), 이마트(45.5%)의 순이었다. 평균 마진율은 롯데마트(33.3%), 홈플러스(27.8%), 이마트(18.2%), 하나로마트(11.9%) 순으로 높았다. 특히 이마트는 업체에 별도의 물류비 분담률을 5% 이상 적용하고 있어 추가적인 판촉비, 판매장려금 등을 포함하면 납품업체들은 제품가격의 50% 이상을 대형마트에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대형마트의 마진율이 백화점들의 판매수수료보다도 높게 나타나는 것은 대형마트들이 경쟁적인 점포확대로 인한 한계상황 극복을 위해 납품 중소기업을 희생양으로 삼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는 백화점의 판매수수료와 대형마트의 마진율 관리를 통해 납품업체와 소비자에게 피해가 전가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