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심서 텃밭 가꾸자"… 부산시 도시농업육성 계획 ‘눈길’

부산시가 올해 도시 텃밭을 138ha로 확대하고 도시농부를 6만3,000명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노숙을 경험한 사람과 장애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희망나눔텃밭을 조성하는 등 도시농업을 통해 사회적 경제 일자리도 창출한다.


부산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도 도시농업육성 시행계획’을 15일 발표했다.

부산시는 2012년부터 자연친화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 농업을 육성하고 있는데 올해는 텃밭을 지난해 118ha보다 16.9% 늘어난 138ha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는 부산 지역 가구당 1㎡(0.3평) 규모다.

도시농부도 지난해 4만3,000명에서 시 전체인구의 1.8%인 6만3,000명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부산시는 이를 위해 노숙경험인과 장애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희망나눔텃밭 조성 등 30개의 세부 실천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희망나눔텃밭은 행정자치부의 ‘마을공동체 정원사업’과 연계한 사업으로 미활용 국·공유지인 강서구 신호동 신호지구 1만3,954㎡와 강동동 강동지구 1만3,194㎡에 공동체 정원 2곳을 조성한다.

관련기사



이곳에는 일자리 창출형 텃밭과 비닐하우스, 정원(약초원, 허브가든 등), 원두막, 주민참여텃밭 등이 조성된다.

신호지구는 사단법인 밥퍼 나눔 공동체가 운영하는 노숙경험인 중심의 희망나눔텃밭을 조성해 생산되는 식자재를 무료급식에 사용하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식자재비를 노숙경험인의 인건비로 지급하는 선순환방식의 일자리(50명)로 활용할 예정이다.

강동지구는 사단법인 부산장애인부모회가 운영하는 장애인 중심의 희망텃밭을 조성해 장애인의 일자리(50명) 창출 및 자활의지를 고취할 예정이다.

휴면 건축물을 활용한 ‘창업형 버섯재배’ 시범사업, 실내텃밭 시범사업, 꽃차 재배 등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도시농업과 사회복지, 정원조성, 꽃차 등의 새로운 산업개발이 결합된 공동체정원 사업을 통해 소외된 노숙경험인, 장애인 등에게 함께 희망을 만들어가는 전국 첫 모델 사례로 만들어갈 계획”이라며 “기반공사가 끝나는 5월 초 개장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도시농업 육성의 상징성을 보여주기 위해 옥상 등 시청사 빈공간에 200㎡ 규모의 도시텃논을 조성하고 일선 학교에는 식생활·생태교육·교우관계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학교·치유텃밭’을 운영할 방침이다.

사람과 곤충, 식물이 공존하는 친환경 생태도시를 지향하는 차원에서 친환경 도시양봉도 적극 추진한다.

도시농부학교와 도시농업 지원센터 등에서 귀·창농 인력 육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도 실시하고 미래 세대인 어린이들에게 도시농업을 알리기 위해 ‘시장님과 함께하는 어린이 텃밭학교’도 운영할 방침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co.kr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