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주민·황욱렬 교수 연구팀 세포 손상 없는 배양기 개발

한국연구재단은 김주민 아주대 교수와 황욱렬 경상대 교수팀이 동물세포 배양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동물세포 배양기는 동물세포를 이용해 의약품의 원료가 되는 단백질·항체·호르몬 등의 생물학적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다.

연구진이 개발한 것은 동물세포 배양기 내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기체 버블(bubble)의 파열에 의한 세포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미세유체장치다. 이 장치는 주로 높이 100나노미터(μm) 이하로 구성된 미세유로에서 일어나는 이상 현상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동물세포의 손상을 막아 배양기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연구진은 십자 모양의 미세유로 중앙에서 신장 응력에 의해 세포가 변형된다는 것에 착안하고 이를 이용해 신장 응력에 의해 세포 손상을 측정하는 미세유체장치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또 많은 수의 기포 발생은 세포 손상을 촉진하므로 기포 크기를 특정한 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데 세포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최대 기포 크기를 측정해 세포 손상을 역시 줄일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가 적용된 배양기로 치료용 항체 단백질을 생산했는데 기존 생산량인 리터당 112mg보다 더 많은 리터당 126mg을 추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 화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랩 온 어 칩(Lab on a chip)'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