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대7'
우리나라와 중국·일본의 해외 인수합병(M&A) 성적표다. 우리나라가 최근 5년간 389억4,000만달러 규모의 기업을 해외에서 사들일 때 일본은 3,019억5,000만달러, 중국은 2,808억3,000만달러 규모의 M&A를 한 것이다. 규모나 건수 모두 참패다.
중후장대 산업의 새로운 사업 기회는 M&A다. M&A는 신사업을 벌일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고 정체된 성장동력을 깨울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기업은 해외 M&A 실적이 신통치 않다. 특히 불황기는 M&A의 최적기임에도 우리 기업은 안에서만 맴돌고 있다.
18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해외 M&A 규모는 389억4,000만달러(47조8,000억원·347건)에 그쳤으나 같은 기간 일본의 해외 M&A는 3,019억5,000만달러(370조5,000억원·1,779건), 중국은 2,808억3,000만달러(343조7,000억원·1,275건)로 각각 우리의 7.8배와 7.2배에 달했다.
지난해 중국 기업의 해외 기업사냥은 전년(576억2,000만달러)보다 무려 65%나 급증해 사상 최대를 나타냈다. 건수 역시 최대 기록인 397건으로 1년 전의 293건보다 35% 늘었다. 일본은 지난해 해외 M&A 건수가 40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금액은 2012년 다음이었다.
우리 기업의 해외 M&A 건수는 2010년 7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금액은 2012년의 109억5,000만달러가 최대다. 해외 M&A는 2012년 이후 매년 60건대로 2013∼2014년에는 금액이 연간 50억달러 안팎으로 대폭 줄었다가 지난해에 다시 100억달러대를 회복했다. 그나마 지난해에는 국내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가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와 캐나다공무원연금, 싱가포르 테마섹과 함께 영국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를 61억달러에 인수한 덕분에 전년보다 금액이 많이 늘었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산업에 새로운 동력이 안 생기는 상황인데 M&A를 통해 신규 사업에 바로 진출할 수 있다"며 "지금과 같은 불황기에는 좋은 기업도 일시적 어려움으로 매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M&A의 적기인데 우리만 그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실제 올 들어 해외 M&A 성적 차는 더 두드러진다. 우리나라는 17일까지 7건, 3억8,000만달러인 반면에 중국은 56건, 704억달러로 이미 금액에서는 지난해 전체의 78%에 달했다.
재계에서는 과거 실패 경험이 국내 기업의 해외 M&A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1995년 3억7,700만달러를 투자해 미국 컴퓨터 제조사 AST를 인수했지만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했다. 최근 들어 기업가정신이 약해졌다는 해석도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업들도 M&A를 해야 한다는 것은 잘 알고는 있다"면서도 "지금까지 M&A로 재미를 본 적이 많지 않은데다 재계 3세로 넘어오면서 기업가정신이 다소 약해진 측면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