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국가안보보다 고객보안"

애플, 美 법원 테러범 아이폰 잠금해제 명령 거부

"위험한 선례… 수용 안돼"

대선 쟁점으로 부상 조짐

애플이 고객 보안과 국가안보 중에서 고객을 선택했다. '테러 수사' 명분이라도 개인정보가 노출될 경우 '위험한 선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지만 논란은 쉽게 잦아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화당 대선주자들이 애플의 결정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대선 쟁점으로 끌어들일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17일(현지시간) '고객에게 드리는 메시지'에서 "미 정부가 요구하는 고객 보안을 위협하는 조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쿡은 이번 요구가 수용될 경우 한번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로스앤젤레스(LA) 연방법원은 지난해 12월 캘리포니아 샌버너디노에서 발생한 무슬림 부부의 총기난사 사건과 관련, 애플에 테러범의 스마트폰 잠금화면 해제를 위한 기술지원을 명령했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14명을 살해한 사이드 파루크의 아이폰 교신내용을 파악해 공범의 존재 여부나 극단주의 세력과의 연계를 조사하려 했지만 잠금화면을 풀지 못해 석 달 넘게 씨름해왔다. FBI는 파루크의 아이폰 잠금 해제를 위해 가능한 모든 조합을 넣는 '무차별 대입 공격'을 하려 하지만 최신 아이폰은 암호 입력이 다섯 차례 틀리면 다음 입력까지 1분을 기다려야 하고 아홉 차례 틀리면 1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열 번 틀리면 자료가 자동으로 삭제된다. 만약 애플이 FBI의 요구를 들어줘 암호입력 대기시간을 없애고 자료를 삭제할 수 없도록 하더라도 여섯 자리의 암호가 알파벳 대소문자와 숫자를 모두 이용해 이뤄졌다면 568억개의 조합에 입력시간만도 144년이 걸린다.

쿡은 법원의 명령을 거부하며 "이런 명령은 법적 차원을 넘어 더 심각한 의미를 가진다"고 현재 미국 정부의 도를 넘은 사생활 침해를 경고하기도 했다.

애플이 법원의 명령을 정면으로 거부하며 이 문제는 미 대선 이슈로도 부상할 조짐이다. 공화당 대선주자인 도널드 트럼프는 이날 인터뷰에서 "그 사람들은 도대체 자신들이 누구라고 생각하는 것이냐"고 비판하며 "법원 명령에 따라 애플은 잠금장치를 해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는 "법원 명령에 100% 동의하며 법원 명령이 있으면 당연히 잠금장치를 해제해야 한다"면서 "결국 안보에 관한 것인데 우리는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또 (테러 방지를 위해) 머리를 써야 한다. 상식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영국 BBC는 법원의 명령을 거부한 쿡의 성명에서 "FBI의 요구가 기술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며 "고객과 국가 중 고객을 택한 애플이 고객의 지지를 얻을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