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지문·정맥·홍채로 이체… 온몸이 ‘공인인증서’

하나은행, 국내 최초 모바일 ‘지문인증 서비스’

스마트폰 지문등록후 다양한 금융거래 가능

신한은행, 정맥 정보로 ATM 이용 가능

우리·IBK기업은행 ‘홍채인증’ 서비스 시행





[앵커]

금융권에 핀테크 열풍이 불면서 은행들의 생체인증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정맥 인식과 홍체 인증으로 ATM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오더니 이제는 지문만 있으면 공인인증서 없이도 계좌이체가 가능해졌습니다. 김성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KEB하나은행이 지난 2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국내 최초 스마트폰뱅킹 ‘지문인증 서비스’입니다.

스마트폰에 지문을 갖다 대고 등록만 하면 로그인부터 계좌이체, 상품가입, 대출신청 등 대부분의 거래가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를 다운받거나 암호를 입력하는 등 기존의 복잡했던 과정이 지문인증 한번으로 줄어든 것입니다. 기본 지문인증에 독자적으로 암호화된 본인인증 수단을 추가해서 보안에도 만전을 기했습니다.

향후 지문을 휴대폰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사진촬영 등을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비접촉 방식 지문인증으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입니다. 비접촉 방식이 도입되면 지문인증 센서가 없어도 인증이 가능하게 돼 스마트폰 기종에 상관없이 지문인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인터뷰] 정의석 / KEB하나은행 IT보안부장

관련기사



모바일폰에서 한번의 지문(인증)으로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보다 편리함과 보안성을 함께 갖춘 금융보안서비스입니다.

국내 금융권에서 제일 먼저 생체인증을 일반인 금융거래에 적용한 곳은 신한은행입니다. 신한은행은 손바닥 정맥을 생체인증 수단으로 선택해 정맥 정보를 등록하면 손바닥만으로 입출금·계좌이체 등 AT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은 ‘홍채인증’ 서비스를 시행중입니다. 지점에서 홍채 정보를 등록하면 ATM 위에 설치된 거울형 카메라를 잠깐 들여다보는 것만으로 개인 인증이 가능하고 카드나 통장 없이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은행권의 생체인증 경쟁에 불이 붙으면서 영화의 한 장면처럼 뇌파, 걷는 방식, 얼굴 구조 등 다양한 신체적 특징을 이용해 더 편리한 금융생활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 서울경제TV 김성훈입니다.

[영상촬영 신귀복 / 영상편집 이한얼]

김성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