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도권~남부권 연결… 황금허리 경제권으로"

■ 경북도 22일 안동 신도청 시대 개막

경북 성장엔진 북부권으로 확장… 올해 동서4축 고속도로 개통

세종시·내포신도시 등 연결… 새로운 국토 동서발전축 형성

안동 신도청
경북도가 22일부터 안동시 풍천면 검무산 자락에 위치한 신도청에서 행정 업무를 시작한다. 국내 첫 한옥형 지방정부 청사로 건립된 경북도청 신청사가 우아하면서도 웅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공=경북도

경북도가 안동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신도청시대'를 활짝 열었다. 경상북도라는 이름이 붙은 지 120년만이고, 1966년 대구 북구 산격동에 둥지를 튼 지 50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분리된 지 35년만의 일이다.

21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12일 시작된 신도청 이사가 19일 자치행정국을 끝으로 마무리되면서 22일부터는 안동 신청사에서 행정업무를 시작한다. 경북도는 그 동안 국내 광역자치단체중 중 유일하게 행정 관할구역과 도청 소재지가 달라 지방자치시대에 맞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대구에 위치한 도청의 경북 이전을 위해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검무산 자락 일대 24만5,000㎡ 부지에 행정타운을 조성하고 도 본청(지하 2층, 지상 7층, 연면적 4만8,273㎡)를 비롯해 도의회, 주민복지관, 대공연장 4개동을 건립했다. 앞으로 1단계 행정정타운 조성에 이어 2027년까지 이 일대 10.966㎢에 인구 10만명(4만세대) 규모의 신도시를 3단계에 걸쳐 개발한다. 경상북도의회는 도청과 함께 이미 이전했고, 경북도교육청은 이달 말, 경북지방경찰청은 내년 상반기중 이전하는 등 경북도의 연관기관도 잇따라 신도시로 둥지를 옮긴다.

도청 신청사는 지붕을 경북 고령에서 생산한 전통기와 65만장으로 덮는 등 국내 최초의 한옥형 지방정부 청사로 건립됐다. '전통과 첨단이 결합된 청사'라는 입소문을 타고 지난달에만 1만8,000여명이 신도청을 찾는 등 관광코스로도 급부상했다. 청사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의 30%는 태양광,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청 이전은 무엇보다 국토 균형발전과 지역성장 동력 확충을 위한 획기적 전기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크다"며 "경북의 정체성을 살리고 대구경북의 성장엔진을 기존 대구·포항·구미 중심에서 낙후된 북부권으로 확장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도는 앞으로 북위 36도상에 위치한 도청신도시와 세종시, 내포신도시 등을 연결하는 새로운 국토 동서발전축을 형성, 수도권과 남부권을 연결하는 '한반도 황금허리 창조경제권' 구축에 본격 나선다. 이를 위해 상주~영덕을 연결하는 동서4축 고속도로를 올해 개통한다. 또 신도청에서 세종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와 경북 포항을 연결하는 국도도 추진한다. 철도의 경우 중앙선 복선 전철이 2018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중이고, 중부내륙고속철도 사업도 정부와 협의중이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 19일 신청사와 안동·예천 시가지에서 이전 환영행사와 차량 퍼레이드를 잇따라 개최해 신도청 이전을 자축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이날 "경북도청이 대구와 경북이 분리된 지 35년만에 도민의 품으로 돌아와 벅찬 감동을 느낀다"며 "모든 도민의 에너지를 하나로 모으는 대통합의 시대로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안동=손성락기자 ssr@sed.co.kr


관련기사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