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화장품·헬스케어·주방용품 이란 수출전망 밝아"

할랄비즈 포럼서 진출 전략 논의

"한류에 대한 지나친 기대 금물… 철저한 현지 조사와 상담 필수"

중소기업들이 유엔의 경제제재가 해제된 이란 시장에 진출하려면 화장품과 헬스케어, 주방용품 등을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제2회 할랄비즈 중소기업 포럼'에서는 이란 경제제재 해제 이후 중소기업의 시장진출 전략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포럼에서 구기연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연구원은 중소기업 수출유망품목과 이란시장 진출전략을 제시했다. 구 연구원은 "이란에서는 건강과 외모 가꾸기에 관심이 높고 선물교환문화가 발달돼 있는데 이는 체면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란인의 특성 때문"이라며 "바이어를 만날 때 작은 선물이라도 성의껏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구 연구원은 이 같은 특성을 고려해 중소기업의 수출유망품목으로 △화장품·헬스케어관련 용품 △주방도구 △의류·섬유제품 △유아용품 △인테리어 관련제품 △문구류·포장지·포장용품 △안경·선글라스·신발 △카펫용 청소기 △각종 공산품 △모바일 게임, 메신저앱 등 IT컨텐츠를 꼽았다.

임병용 사단법인 할랄협회 이사는 "중소기업이 할랄시장진출을 하기 위해 이슬람 문화를 존중하고 한류에 대한 지나친 기대는 금물"이라며 "철저한 현지시장 조사와 바이어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시장진출을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할랄비즈 포럼은 식품업계 등 많은 중소기업들이 할랄시장 진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할랄에 대한 정보제공과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지난해 11월 중기중앙회가 발족한 전문가 연구 조직이다.

이번 토론회는 올 1월 유엔 안보리와 미국·EU의 이란 경제제재가 해제돼 중소기업의 이란 시장진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민정기자


관련기사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