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기관 대체투자 확대… 특별자산펀드 40조 돌파

주식형 비중 감소 속 순자산 5년새 2배↑

"일반인 투자상품 적어 성장한계" 분석도


연기금 등 큰손들이 선박과 지하철, 인프라 등에 투자하는 특별자산펀드에 대한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다. 저금리·저성장 기조가 오랜 기간 계속되면서 주식·채권 등 전통적 자산투자 수익이 낮아지자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대체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특별자산펀드(국내형·해외형 포함) 순자산은 2004년 해당 통계가 집계된 후 처음으로 40조원을 넘어선 40조360억원을 기록했다. 2012년 18조6,524억원이었던 특별자산펀드 순자산액은 지난 5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별자산펀드는 주식이나 채권을 제외한 선박이나 지하철·광산·유전·발전소·지식재산권 등 특별자산에 펀드 자산의 50% 넘게 투자하는 펀드다. 투자대상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지만 펀드자산 내 유지, 가치 평가 등이 까다로워 전문성을 갖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사모펀드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 일정 기간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이 대부분이다. 펀드평가사인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국내에서 운용 중인 공모형 특별자산펀드(해외 투자 펀드 포함)의 설정액은 3조1,299억원으로 전체 특별자산펀드의 10% 가량에 불과하다. 펀드 수에서도 사모펀드가 425개로 공모펀드(154개)를 압도하고 있다.

특별자산펀드 규모가 최근 급증한 것은 저금리·저성장 기조 속에서 주식 투자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던 연기금이나 은행·보험 등 기관들이 대체 투자에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에서 운용 중인 주식형 펀드는 2012년 91조1,608억원에서 올해 73조5,691억원으로 17조5,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주식형펀드 비중은 축소하는 반면 기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채권형과 초과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대체 투자 펀드의 비중은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별자산펀드가 어느 정도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업계의 의견이 엇갈린다. 대체로 국내 연기금이나 운용사·은행·보험 등 기관의 대체투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특별자산펀드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부에서는 일반인들도 투자할 수 있는 공모 상품이 극소수인데다 이를 개발하고 운용할 유인책도 없기 때문에 기관의 투자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대체 투자에 대한 중요성도 인정하지만 여전히 투자의 중심은 주식과 채권"이라며 "운용이 복잡하고 다양한 특별자산펀드를 공모형까지 확대하려면 우선은 공모펀드 성과보수 제한을 폐지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