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2의 메르스’와 싸울 중앙감염병병원 격리병실 116개는 돼야

‘제2의 메르스’와 싸울 중앙감염병병원 격리병실 116개는 돼야

질병관리본부 연구용역 결과 발표…운영비 손실 정부보전 필요




정부가 제2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설립하기로 한 중앙감염병전문병원에 116개 음압격리병실 정도는 갖출 필요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석구(충남대 의대)·박형근(제주대 의대)·권순정(아주대 공대) 교수는 22일 질병관리본부가 개최한 공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감염병전문병원 설립방안’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중앙감염병병원의 규모로 정체불명의 감염원에 의한 중증환자를 격리치료하는 고도격리병실 4개(병동 1개)와 중환자병실 32개(〃 2개), 일반병실 96개(〃 6개)를 상정했다. 이 교수는 “대형 병원들의 입원실이 평상시에도 풀가동 상태여서 중앙감염병병원이 꼭 필요하다”며 “지난해 메르스 사태 때 격리병실에 입원한 확진자·의심자가 하루 최대 136명(6월11일)이어서 이 정도의 환자를 입원치료할 수 있는 규모가 적정하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중앙감염병병원 운영비용을 최소화하려면 평상시 4개 격리병동(1개 중환자병동, 3개 일반병동) 112개 병상은 일반진료에, 나머지는 교육훈련·대기용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의료인력도 평상시엔 전문의 12명, 간호사 156명 정도로 가동하다가 비상시 전문의 30명, 간호사 124명까지 충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평상시 가동하는 병동에 호흡기·감염내과 환자만 입원시킬지, 그런 제한 없이 운영할지와 병상가동률에 따라 연간 40억~100억원가량의 손실발생이 예상되므로 정부가 ‘감염병 안보보장’ 차원에서 보전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또 국립중앙의료원에 설치될 예정인 중앙감염병병원의 원장을 질병관리본부장이 임명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병원장은 모(母)병원의 부원장을 겸임하면서 질병관리본부 등 방역 당국과의 업무협력 및 연계업무를 담당한다.

중앙감염병병원은 입원치료와 연구, 전문인력 교육훈련 등을 담당하며 감염병환자의 중증도 등을 감안해 전국의 입원병상과 이송 여부를 결정하는 감염병환자관리센터 기능도 수행한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