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에서 투자 종목을 선별할 때 가장 좋은 기준은 정책이다. 아직 중국은 수급보다는 정책이 우선하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은 분야별로 5개년 계획과 1년짜리 계획을 각각 세워놓는다. 때에 따라서는 3년 계획과 50년 계획도 마련해 놓는다. 덕분에 특정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확인하기 쉽다. 중국이라는 국가는 A라는 정책을 끌고 가다가 갑자기 Z로 빠지지는 않는다. A 이후에 B를 하거나, 아니면 A의 비중을 줄이고 B를 점차 늘려나간다. 모든 계획이 순차적으로 발표되고 진행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올해 중국 관련 종목은 유아(Baby), 인프라(Infra), 환경(Green), 인터넷(Internet), 여가(Time)를 모은 'BIG IT'로 정리할 수 있다. 산아제한 완화 정책으로 매년 20조원 시장이 추가로 형성되는 유아용품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으로 본격화될 인프라 투자는 이미 주목 받고 있다. 또 전기차와 충전시설 부양 정책이 가속화되면서 친환경 시장이 떠오를 것이고 중국 내 지역 간 불균형 문제 해결방안으로 온라인 교육이 꼽히고 있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올해가 미중 관광의 해로 지정된 만큼 여행·영화·헬스케어 산업에도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이 가운데 특히 올 들어 부양 정책이 끊이지 않는 산업 분야가 유아용품과 전기차 시장이다. 다만 여기에는 큰 변수가 있다. 중국 정부가 해당 시장에서 강력한 자국 기업 보호 육성 정책을 쓴다는 점이다. 중국의 전기차 시장 육성 계획을 살펴보면 오는 2020년까지 지금보다 20배 이상 시장 규모가 커질 것이고 충전시설 등도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는 국내 배터리 기업에도 이러한 중국의 정책이 호재로 작용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전기버스에 적용하지 않기로 발표함에 따라 국내 업체의 움직임이 바빠졌다. 중국 배터리 기업 대부분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주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 기업 보호 정책으로 해석되고 있다.
중국이 과거 외국 기업과 합작이나 합자를 통해 산업을 발전시키는 방식을 택했지만 최근에는 완전히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배터리 규제를 비롯해 홈쇼핑·영화 등의 산업 분야에서 속속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국 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자국 기업이 해외 업체와 경쟁할 수 있을 만큼의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다. 기회가 열려 있지만 다음날 아침에라도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규칙을 완전히 뒤바꿀 수 있는 나라가 중국이다. 중국에 대한 투자를 고민한다면 자국 기업 보호 육성 정책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