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야간산불 잡는 드론 23일 뜬다

산림과학원, 영월서 첫 시험비행

영상 전송·진화·물자 수송 등 수행

산불대응 드론

밤중에 발생하는 산불 현장에 출동해 현장 영상을 제공해주는 무인항공기(드론·사진)가 첫 시험비행에 나선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3일 강원도 영월군에서 무인항공기 시험비행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드론 시연은 산림과학원·국토교통부·항공안전기술원 등 22개 기관이 체결한 무인항공기 시범사업 협약의 첫 후속조치로 '무인항공기 시범사업 개회식'에서 펼쳐진다.

무인항공기 시범사업은 2017년까지 15개 사업자가 강원 영월, 부산, 대구, 전남 고흥, 전북 전주 등 전국 5곳에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산림감시·물품수송·국토조사 등 8개 분야에 대한 사업모델 발굴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한 뒤 2020년까지 상용화하는 사업이다.

산림과학원은 2017년까지 무인항공기 시범사업을 통해 야간 산불 방향 탐지·잔불조사·산불예방 활동에 무인항공기를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2020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야간산불은 진화헬기 운영이 불가능해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무인항공기를 활용하게 되면 산불 발생시 먼저 고정된 날개를 가진 드론이 전체 산불 상황을 카메라에 담아 산불예측분석센터와 산불현장대책본부에 정보를 제공하고 그 다음 회전하는 날개를 가진 드론이 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해 산불 조기 진화를 돕게 된다. 또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절벽이나 급경사지에 소화약제를 뿌려 산불진화 임무를 수행하고 위급 상황 시 수색과 구호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 원장은 "무인항공기를 통해 산불 진화 현장의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소나무재선충병·산사태 등 산림분야에도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무인항공기 활용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산림과학원은 2015년부터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산림재해 방지 연구를 수행 중이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co.kr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