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잠재성장률서 생산성 기여도 4분의1 불과”

24일 경제동향 간담회

"구조개혁 제대로 이행하는 게 중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잠재성장률에서 생산성 기여도가 성장률의 4분의 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우리 경제가 구조개혁을 통한 생산성 향상 없이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사실은 지표를 통해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에 따르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2001년~2005년 5.2%에서 금융위기 이후인 2011년~2015년 3.2%로 낮아졌는데 이는 생산성의 기여도가 2.2%포인트에서 0.8%포인트로 크게 낮아진 것이 가장 큰 영향을 줬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미국은 성장에서 생산성이 기여하는 비중이 절반 이상이고 일본도 고령화 진전으로 노동기여도가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어 생산성 향상이 거의 유일한 성장동력 일 수밖에 없다”며 “일반이론이 아닌 실제 데이터로도 구조개혁의 중요성이 입증된다”고 했다. 그는 이어 “현재 경제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이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장재철 씨티은행 상무, 송기석 BOA 메릴린치 전무, 김극수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 정성춘 대외경제연구원 국제거시금융본부장, 신관호 고려대 교수, 홍기석 이화여대 교수가 참석했고 한은 측에서 이 총재와 서영경 부총재보, 장민 조사국장, 최요철 국제경제부장이 함께 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