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스페인 독감



미군 병사 한 명이 열과 두통을 호소하며 의무실을 찾았다. 1918년 3월 4일, 미 육군 캔자스주 릴리 기지에서 일어난 일이다. 첫 환자 발생 하루 뒤 의무대를 찾는 병사는 500명으로 불어났다. 불과 20개월 여만에 지구촌 전역을 누비며 수천만명을 죽음으로 몰고 갔던 공포의 질병, 스페인 독감(Spanish Flu)이 시작된 것이다.

스페인 독감 희생자는 사망 4,000만~5,000만명설이 정설이었지만 보다 참혹했다는 추정치가 최근 나왔다. 최소 5,000만명, 최대 1억명이 죽었다는 평가가 나올 만큼 인류역사상 최대의 재앙으로 손꼽힌다. 당시 세계인구가 약 18억명이었으니 죽음이 지구를 덮었던 셈이다. 극히 짧은 기간에 이토록 많은 사람이 희생된 경우는 인류 역사상 전쟁과 전염병ㆍ자연재해를 통틀어 스페인 독감이 유일하다.

미 육군 릴리 기지에서 얼마나 많은 희생자가 나왔는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전시 언론검열 탓이다. 확실한 것은 두 가지. 릴리 기지를 거쳐 유럽에 파견된 미군 병사들 사이에서 희생자가 속출했으며 그해 7월부터는 퍼지고 퍼지며 ‘스페인 독감’이라는 병명을 갖게 됐다는 점이다. 스페인으로서는 발병국도 아니고 희생자가 많지 않았으나 억울하게도 병명에 나라 이름이 붙었다. 1차 대전에 참전하지 않은 중립국이어서 보도통제가 없었기에 유럽 각지에서 집단사망했다는 소식이 스페인 언론에 그대로 소개되며 병명은 스페인 독감으로 굳어졌다.


순식간에 전세계로 퍼진 스페인 독감은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어린아이들이 주로 걸렸다. 영유아들은 감염되는 즉시 사망했다. 불결한 거주 환경과 전투, 독가스 공격에 지쳐 있던 병사들에게도 죽음의 병마가 파고들었다. 미군의 스페인 독감 희생자는 전사자의 두 배가 넘었다. 독일의 사회·경제학자 막스 베버, 당시 한성에서도 근무하며 미국의 아시아 금융네트워크를 설계한 윌러드 스트레이트가 이때 죽었다. 식민지 조선에서도 14만명이 죽어 나갔다.

관련기사



1919년 겨울 갑자기 없어진 스페인 독감은 과연 사라졌을까. 확언하기 어렵다. 스페인 독감의 병원균(H1NI)과 조류독감 병원균(H5NI)이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나왔다. 언제 재연될지 모를 재앙에 뾰쪽한 대안도 없다. 약효가 검증되지 않은 예방백신마저 크게 부족하다. 자연 앞에서 인간은 여전히 나약한 존재다.

스페인 독감 같은 유행병이 다시 돈다면 어떤 약이 있을까. 예방이 제일이다. 과로를 피하고 손과 발을 깨끗이 씻으며 익힌 음식을 섭취하면 인간전염병으로의 전이를 막을 수 있다. 예방백신을 맞았다고 안심할 것도 못된다. 새로운 약품이 나올 때마다 바이러스가 교묘하게 변이를 거듭하는 탓이다. 의학의 발달보다 바이러스의 변종이 항상 빠르단다.

인간을 괴롭혀 온 것은 인플루엔자 뿐 아니다. 아프리카 최대의 섬, 마다가스카르에서 21세기에 다시 출현했다고 의심받은 흑사병은 14세기 중반 유럽 인구를 3분의 2 수준으로 줄여놓았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 시민의 30%을 죽여 몰락을 재촉한 것은 경쟁도시 스파르타가 아니라 홍역이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원정군 50만명은 총칼이나 동장군보다 발진티푸스 때문에 죽어 나갔다.

각종 질병의 창궐을 최근에는 다른 시각으로 풀이하는 이론들도 나오고 있다. 엘니뇨로 각종 전염병이 창궐한다는 연구도 있고 흑사병은 사람과 사람을 통해 직접 감염되는 바이러스라는 주장도 나왔다. 영국 사학자인 수잔 스콧은 역저 ‘흑사병의 귀환’을 통해 에이즈 병원균도 흑사병 바이러스의 변종이라고 주장한다. 과연 맞는지 모르겠지만 겁난다. 환경 파괴로 인한 지구 온난화로 세균의 진화 속도는 한층 더 빨라졌다. 영국 생물학자 버나드 딕슨의 말처럼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거대생물이 아니라 미생물’인지도 모른다.
/권홍우 논설위원 겸 선임기자 hongw@sed.co.kr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