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신항 배후단지 민간 분양…항만업계 ‘경쟁력 떨어진다’ 반발

정부가 그동안 공공개발만 하던 1종 항만 배후단지 사업을 민간에 개방하기로 하고 사업자 공모에 나서자 사업부지를 낀 인천항만 업계와 지역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8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인천신항 1단계 2구역(93만4,000㎡)과 평택당진항 2-1단계(113만3,000㎡) 배후단지 개발사업을 맡을 민간 사업자의 참가의향서를 7일부터 11일까지 접수한다.


이들 부지는 각각 1종 항만배후단지로서 화물 보관, 집배송, 조립·가공 관련 시설, 업무·편의시설을 갖추게 된다.

그동안 1종 항만배후단지는 정부와 항만공사가 부지를 개발한 뒤 민간에 최장 50년간 장기 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됐으나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이번에 처음으로 민간개발·분양방식이 도입됐다.

해수부는 인천신항 1단계 2구역과 평택당진항 2-1단계 사업참가 의향서 접수 후 올해 6월 사업신청서류를 받고, 7∼8월께 우선협상대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인천항만 업계와 지역 시민단체는 민간 사업자가 배후단지를 개발하면 임대료와 물류비가 상승하는 등 물류업계의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천항발전협의회, 인천항만물류협회,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13개 단체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이번 조치는 인천신항과 배후단지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항만배후단지의 공공재 역할마저 포기하려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또 부산·광양·평택항과 같이 인천신항 배후단지도 자유무역지대로 지정해 정부가 배후단지 기반조성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수부는 정부 주도로 배후단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예산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야 해 단지 공급이 늦어진다며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민간 투자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배후단지 민간 분양은 이번이 처음이며, 임대가 아닌 민간 분양을 통해 고부가 가치 제조·물류기업을 유치함으로써 고용도 창출하고 항만구역의 산업 집적도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co.kr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