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정성립의 자신감

"올 1분기 턴어라운드… 5,000억 이익 낼 것"

"플랜트 출혈 멈춰 흑자 가능

쉽야드4.0TF로 효율 극대화"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해양플랜트 손실에 따른 출혈이 멈춰 1·4분기부터 턴어라운드가 시작될 것"이라며 "올해 5,000억원의 영업이익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 사장은 10일 간담회에서 "올해 예견된 손실 외에 추가 불확실성이 거의 제거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지난해 5조5,05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정 사장은 "대우조선이 최적의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규모는 매출 12조원과 근로자 인원 3만명 수준"이라며 "그러나 지난 2014년에는 매출 16조원에 생산 인원이 5만명에 달하는 등 통제가 안 되는 생산 상황에서 적자를 시현했다"고 시인했다. 현재 작업 인력은 4만명 수준으로 여전히 1만명가량이 많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생산량이 줄고 인력도 줄면서 공정 예측이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특히 협력사 인원 중 상용근로자가 아닌 '물량팀'의 인력 투입 규모가 줄어들면서 공정 효율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올해 수주 전망은 밝지 않다. 내부적으로 상선 60억달러, 해양플랜트 및 특수선 40억~50억달러 등 약 110억달러의 수주 목표를 세웠지만 현재 유가 수준에서는 실현 불가능하다는 게 내부 분위기다. 정 사장은 "하반기로 갈수록 상선 부문 수주는 달성 가능하지만 해양플랜트는 유가의 향방에 달려 있다"며 "내년 하반기에나 유가가 배럴당 50~70달러 수준으로 회복돼 해양플랜트 수주도 가능할 듯하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궁극적으로 중국에 비해 원가 경쟁력을 유지하는 게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배를 만드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중국과 차별화될 수 없다"며 "'인더스트리 4.0(4차 산업혁명)'을 본떠 '쉽야드 4.0'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정보기술(IT)과 기기장비를 연결시켜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