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日에 1.1년 뒤지고 中엔 0.3년 앞서

■ 한국 인공지능 현주소는

日 대입시험 로봇 개발 박차… 中 포털 바이두 美교수 영입

"韓, 선진국과 실제 격차 4.6년… 기술 따라잡기 어려워" 분석도

한국 인공지능(AI) 산업이 일본에 뒤처지고 중국의 맹추격을 받는 '샌드위치' 신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의 '2014년도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수준 조사보고서'를 보면 한국 AI 소프트웨어의 기술 상대수준은 75.0(미국=100 기준)으로 일본(89.3)에 한참 뒤처졌다. 중국의 AI 기술 수준은 71.9로 한국의 뒤를 바짝 쫓았다. 격차 기간을 따지면 한국은 일본에 1.1년 뒤떨어지고 중국에는 0.3년 앞서는 것이다. 미국과 비교해서는 2년 뒤진다. AI 시장에서 한국과 미국·일본 등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는 실질적으로는 분석보다 2배 가량 더 벌어진 상태라는 지적이 나온다. IITP 측은 "AI를 포함해 빅데이터, 기계학습 등에서 한국의 인력과 기술이 절대 열세인 상황"이라며 "선진국과의 AI 기술 격차가 2.6년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4.6년 정도 차이가 나 따라잡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본은 아시아에서 AI산업 주도권을 쥐기 위해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은 애완용 로봇부터 인간형 로봇까지 생물과 가장 비슷한 로봇을 만들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에 매진해왔다. 2011년부터는 일본 국립정보학연구소가 도쿄대 합격을 목표로 '도로봇 군'이라는 AI를 개발하고 나섰다. 중국은 대규모 투자, 인력 영입에 열을 올리며 한국을 맹추격하고 있다. 중국 최대 포털인 바이두는 2014년 로봇공학과 기계 학습 분야의 전문가로 꼽히는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를 영입했고, 3억달러를 들여 인공지능연구소를 세웠다. 바이두는 특히 음성인식 AI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관련기사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