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다문화사회, 우분투의 지혜를 찾자-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일본의 인구가 몇 년째 감소하고 있다. 급기야 일본 정부는 출산율을 1.42에서 1.8로 높여 50년 뒤에도 인구 1억명을 유지하겠다는 인구종합대책을 지난해 10월 내놓았다. 이는 바다 건너편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우리는 더 빠른 속도로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치닫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소비감소와 생산성 하락으로 연결돼 우리 경제에도 치명적이다. 내년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가 14%를 넘는 고령화 사회를 맞게 되고 2018년에는 인구학적 요인으로 소비가 급감하는 '인구절벽'의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한다. 2030년이면 인구가 5,200만의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접어들어 2100년께는 반 토막이 난다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가운데 우리 사회로의 외국인 이주는 계속 늘어 다문화 사회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주 외국인 수가 올해 2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 하니 총 인구의 4%가 되는 셈이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잠재성장률 1%를 높이기 위해 2020년까지 약 500만명, 2050년까지 1,600만명 이상의 외국인이 필요하다고 하니 다문화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우리도 서둘러 인구정책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시행할 필요가 있다.

최근 다문화사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높아지고 많은 사회단체들이 다문화가정을 위한 활동을 하는 것은 고무적이다. 한국이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서는 더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정책을 펴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우리의 다문화정책이 이주 외국인의 문화를 이해하고 관용하기보다는 이들을 동화시켜 한국화하려는 데 더 치중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한국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이주아동이 6,000명에 이르며 이들이 학교교육·의료지원 등에 있어 불이익과 차별을 받고 있다는 보도는 가슴을 아프게 한다.

오랜 역사를 통해 '단일민족'이라는 긍지를 갖고 살아온 한국인들이 다문화사회의 현실을 인정하면서 새로운 다문화 정체성을 찾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타 문화에 대한 존중·배려없이 한국 사회의 미래는 없다. 우리가 진정한 다문화주의를 발전시켜 나가려면 아세안 국가들의 노력과 경험으로부터 배울 것이 많다. 그들은 수많은 종교·인종·언어·관습의 갈등을 극복하고 '다양성 속의 통합'을 구현해가고 있다.

남아공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은 생전에 '우분투(아프리카 반투족 말로 '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라는 뜻)'라는 표현을 강조해서 자주 썼다. 선조들이 여러 재료를 섞어 비빔밥이란 훌륭한 음식문화를 창조했듯 우리도 상생을 의미하는 우분투의 지혜를 살려 한국적 비빔밥 다문화사회를 만들어가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