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환경부·서울시 등 ‘멧돼지는 산으로...’ 시범 프로젝트 착수

포획장에 생포된 멧돼지. /사진제공=환경부포획장에 생포된 멧돼지. /사진제공=환경부




환경부는 서울특별시 등과 손을 잡고 ‘멧돼지는 산으로! 시범 프로젝트’를 15일부터 올 연말까지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환경부와 서울시, 국립공원관리공단, 야생생물관리협회는 15일 서울시 성북구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멧돼지의 도심 출현을 막기 위해 착수하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포획장과 포획틀을 설치해 멧돼지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맡는다. 생포한 멧돼지는 야생동물 건강성 평가 등 연구를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에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자치구 허가를 받은 야생생물관리협회 회원을 비롯한 엽사들로 기동포획단을 꾸려 북한산국립공원 바깥에 출몰한 멧돼지를 포획한다.

관련기사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멧돼지의 도심 진입 경로로 확인된 구기터널 상부에 철재 펜스를 설치해 멧돼지의 도심 방향 이동을 막는다.

환경부와 공단은 북한산국립공원과 주변 지역의 멧돼지 활동 흔적, 이동 경로 등을 상세히 조사해 연말까지 북한산 멧돼지 생태지도를 만들고 향후 관리에 활용할 예정이다.

북한산국립공원에는 약 120마리의 멧돼지가 살고 있다. 서식밀도는 1㎢당 2.1마리로 추정된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주변 서울시 6개 자치구에서는 연평균 152건의 멧돼지 출몰 사례가 있었다.

환경부는 이번 프로젝트로 북한산국립공원과 인근 지역에서 멧돼지 약 50마리를 포획해 6개 자치구의 멧돼지 출몰 건수를 연평균 110건 이하로 줄일 계획이다.

이민호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이번 시범 프로젝트는 사람과 야생동물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등산객도 정규 탐방로가 아닌 샛길 출입은 자제하고 멧돼지의 먹이인 야생 열매를 채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co.kr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