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 "유망 스타트업 끝까지 책임집니다"

새로운 ICT 상생 프로그램 선봬… 크레모텍·씨메스·패밀리 등 3곳

제품 개발·판매까지 원스톱 지원

SK가 정보통신기술(ICT)분야의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기업상생 프로그램을 내놓았다.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사실상 요람부터 무덤까지 성장을 돕는 방식이다.

장동현 SK 창조경제혁신추진단장 겸 SKT 사장은 15일 서울 을지로 SKT 본사에서 유망 스타트업들과 협약을 맺고
ㄴ
장동현(가운데) SK 창조경제혁신추진단장 겸 SK텔레콤 사장이 15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유망 스타트업인 크레모텍, 씨메스, 패밀리 관계자들에게 지분 매입 방식의 투자를 약속하며 협약을 맺고 있다. /사진제공=SKT

창업 자금조달에서부터 제품개발, 판매에 이르기까지 사업의 주요 업무를 전반적으로 지원해주기로 했다. 경영에 간섭하지 않는 조건으로 지분을 매입해 스타트업에 자금 숨통을 터주고, 개발 제품의 유통망 구축을 도와주며 사업 노하우를 전수해주겠다는 내용이다.

이날 협약을 통해 지원을 받게 된 스타트업은 크레모텍, 씨메스, 패밀리 등 3곳이다. SK는 이들에게 각각 10억원, 9억원, 8억원 등 총 27억원을 지분 참여 형태로 투자한다.

SK는 이 업체들 외에도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업체들이 보육 단계 이후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멘토링, 네트워킹, 사무실 대여, 비즈니스 협력 등 지원을 하는 '우수업체 Post-BI(Business Incubator)'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SK 관계자는 "이번 협약식으로 그치는 게 아니라 성장가능성이 있지만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스타트업에게 추가적인 지원을 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SK는 스타트업들의 해외진출 지원 방안도 모색 중이다.

SK는 이미 기존에도 다양한 스타트업 보육(인큐베이팅) 사업들을 진행해왔다. 그럼에도 이번에 새로운 방식의 지원책을 꺼내어 든 것은 창업을 도와줘도 5년후 데스밸리(창업 초기 경영난에 빠지는 현상)에 빠지는 스타트업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뛰어난 기술력과 기획력을 갖추고도 제대로된 판매망이나 경영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을 도우려면 창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립을 도와야 한다는 게 SK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